여성정책연구원, 기혼여성 유자녀 근로

여성정책연구원, 기혼여성 유자녀 근로

oreo 0 04.16 08:48
여성정책연구원, 기혼여성 유자녀 근로자 스트레스 분석절반은 '과잉 노동'…스트레스 수준 높고 직장 만족도 낮아"유연근무 늘려야…'11시간 연속 휴식' 전업종 확대도 필요"[서울=뉴시스] 전진우 기자 (뉴시스DB) [서울=뉴시스] 고홍주 기자 = 미성년 자녀를 둔 '워킹맘'들의 근로시간이 길수록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잉 근로를 조장하는 조직문화를 개선하고 육아지원정책을 '모성'에서 '양육자'로 바꾸는 등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16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따르면, 학술지 여성연구 2025년 1호에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미성년 자녀를 둔 기혼여성 근로자의 일·생활 균형 유형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논문이 실렸다.연구는 '2023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중 미성년 자녀를 둔 기혼여성 근로자 749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들의 연령은 평균 44.49세로, 61.3%(468명)가 정규직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0.6%(379명)은 실제 근로시간이 희망 근로시간보다 많은 '과잉 노동' 유형으로 분석됐다. 54.6%(409명)은 적정한 가정생활을, 67.3%(504명)은 부족한 여가생활을 보내고 있었다.연구자들은 이들을 '과잉 가정생활-과소 여가생활형(과잉 가정생활형)', '일-생활 균형형(균형형)', '과잉 노동-과소 여가생활형(과잉 노동형)' 등 세 집단으로 나눠 분석했다.분석 결과 스트레스 수준은 과잉 노동형이 4점 만점에 2.09점으로 가장 높았다. 균형형(1.99점)이 그 뒤를 이었고, 과잉 가정생활형(1.96점)이 가장 낮았다.갈등의 경우 '일→가정 갈등(일에서 비롯된 갈등에 가정까지 미치는 것)' 수준이 과잉 노동형이 2.05점으로 가장 높았다. 균형형은 1.87점, 과잉 가정생활형은 1.79점이었다.가정→일 갈등 수준 역시 과잉 노동형이 2.21점으로 월등히 높았다. 균형형은 2.04점, 과잉 가정생활형은 1.87점이었다.직장 만족도는 균형형이 3.71점으로 가장 높았고, 과잉 노동형(3.50점), 과잉 가정생활형(3.47점) 순으로 나타났다.이 밖에도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고, 배우자와의 관계가여성정책연구원, 기혼여성 유자녀 근로자 스트레스 분석절반은 '과잉 노동'…스트레스 수준 높고 직장 만족도 낮아"유연근무 늘려야…'11시간 연속 휴식' 전업종 확대도 필요"[서울=뉴시스] 전진우 기자 (뉴시스DB) [서울=뉴시스] 고홍주 기자 = 미성년 자녀를 둔 '워킹맘'들의 근로시간이 길수록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잉 근로를 조장하는 조직문화를 개선하고 육아지원정책을 '모성'에서 '양육자'로 바꾸는 등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16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따르면, 학술지 여성연구 2025년 1호에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미성년 자녀를 둔 기혼여성 근로자의 일·생활 균형 유형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논문이 실렸다.연구는 '2023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중 미성년 자녀를 둔 기혼여성 근로자 749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들의 연령은 평균 44.49세로, 61.3%(468명)가 정규직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0.6%(379명)은 실제 근로시간이 희망 근로시간보다 많은 '과잉 노동' 유형으로 분석됐다. 54.6%(409명)은 적정한 가정생활을, 67.3%(504명)은 부족한 여가생활을 보내고 있었다.연구자들은 이들을 '과잉 가정생활-과소 여가생활형(과잉 가정생활형)', '일-생활 균형형(균형형)', '과잉 노동-과소 여가생활형(과잉 노동형)' 등 세 집단으로 나눠 분석했다.분석 결과 스트레스 수준은 과잉 노동형이 4점 만점에 2.09점으로 가장 높았다. 균형형(1.99점)이 그 뒤를 이었고, 과잉 가정생활형(1.96점)이 가장 낮았다.갈등의 경우 '일→가정 갈등(일에서 비롯된 갈등에 가정까지 미치는 것)' 수준이 과잉 노동형이 2.05점으로 가장 높았다. 균형형은 1.87점, 과잉 가정생활형은 1.79점이었다.가정→일 갈등 수준 역시 과잉 노동형이 2.21점으로 월등히 높았다. 균형형은 2.04점, 과잉 가정생활형은 1.87점이었다.직장 만족도는 균형형이 3.71점으로 가장 높았고, 과잉 노동형(3.50점), 과잉 가정생활형(3.47점) 순으로 나타났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