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 요도 압박 배뇨 곤란
전립선 요도 압박 배뇨 곤란 호소…계속 커지고 원래대로 회복 안 돼 결석·만성신부전 등 합병증 위험클립아트코리아 제공.최모(52)씨는 평소 시원한 음료와 아이스커피를 즐긴다. 더운 여름에는 이런 횟수가 많아지면서 화장실도 더 자주 가는 편이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이따금 소변을 참지 못하고 속옷에 한 번씩 실례하는 경우가 생겼다.병원을 찾은 결과, 전립선비대증이었고 약이 처방됐다. 약 복용 후 증상은 많이 나아졌지만, 여름철 냉방이 잘된 곳에서 커피를 많이 마시면 급하게 소변이 마렵기는 마찬가지여서 또다시 소변을 지리는 일이 생기지 않을까 걱정이다.◆ 남성 질환의 대명사 '전립선 비대증'중년기 이후 남성 '삶의 질'을 좌우하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전립선 건강'이다. 전립선은 방광 아래에 있는 남성 생식기로 정상 크기는 20cc정도로 호두알 정도이다. 전립선은 정액의 일부를 만들고, 정자에 영양을 보급하며 운동성을 도와준다. 요로감염 방어기능도 있다.전립선 비대증은 전립선이 커져 요도를 압박해 소변보는 게 시원치 않게 되는 증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30㏄ 기준으로 이보다 커지면 전립선비대증으로 진단하며, 30~80㏄ 크기의 경우에서 주로 배뇨곤란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이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다. 전립선 크기가 30㏄ 미만이더라도 전립선 비대증 증상을 호소할 경우 치료를 실시하기도 한다.전립선 조직은 매년 끊임없이 커지며 이 과정이 일시적이거나 시간이 지난다고 해서 회복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전립선 비대증으로 소변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으면 방광 잔뇨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요로감염, 방광결석이 생겨 심할 경우 신장 압력이 올라가 만성신부전이 찾아올 수도 있다.◆ 수술·시술·약물치료 등 다양한 치료법전립선 비대증 초기에 나타나는 경증의 배뇨곤란 증상의 경우 카페인이나 과도한 수분 섭취를 제한하거나 수분 섭취 시간을 조절하는 등의 생활습관 교정, 골반기저근 운동, 방광 훈련 등 행동 치료, 약물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한다.하지만 중증으로 판단되면 수술이나 시술을 적극적으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약물치료의 경우 치료를 중단하게 되면 배뇨곤란전립선 요도 압박 배뇨 곤란 호소…계속 커지고 원래대로 회복 안 돼 결석·만성신부전 등 합병증 위험클립아트코리아 제공.최모(52)씨는 평소 시원한 음료와 아이스커피를 즐긴다. 더운 여름에는 이런 횟수가 많아지면서 화장실도 더 자주 가는 편이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이따금 소변을 참지 못하고 속옷에 한 번씩 실례하는 경우가 생겼다.병원을 찾은 결과, 전립선비대증이었고 약이 처방됐다. 약 복용 후 증상은 많이 나아졌지만, 여름철 냉방이 잘된 곳에서 커피를 많이 마시면 급하게 소변이 마렵기는 마찬가지여서 또다시 소변을 지리는 일이 생기지 않을까 걱정이다.◆ 남성 질환의 대명사 '전립선 비대증'중년기 이후 남성 '삶의 질'을 좌우하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전립선 건강'이다. 전립선은 방광 아래에 있는 남성 생식기로 정상 크기는 20cc정도로 호두알 정도이다. 전립선은 정액의 일부를 만들고, 정자에 영양을 보급하며 운동성을 도와준다. 요로감염 방어기능도 있다.전립선 비대증은 전립선이 커져 요도를 압박해 소변보는 게 시원치 않게 되는 증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30㏄ 기준으로 이보다 커지면 전립선비대증으로 진단하며, 30~80㏄ 크기의 경우에서 주로 배뇨곤란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이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다. 전립선 크기가 30㏄ 미만이더라도 전립선 비대증 증상을 호소할 경우 치료를 실시하기도 한다.전립선 조직은 매년 끊임없이 커지며 이 과정이 일시적이거나 시간이 지난다고 해서 회복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전립선 비대증으로 소변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으면 방광 잔뇨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요로감염, 방광결석이 생겨 심할 경우 신장 압력이 올라가 만성신부전이 찾아올 수도 있다.◆ 수술·시술·약물치료 등 다양한 치료법전립선 비대증 초기에 나타나는 경증의 배뇨곤란 증상의 경우 카페인이나 과도한 수분 섭취를 제한하거나 수분 섭취 시간을 조절하는 등의 생활습관 교정, 골반기저근 운동, 방광 훈련 등 행동 치료, 약물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한다.하지만 중증으로 판단되면 수술이나 시술을 적극적으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약물치료의 경우 치료를 중단하게 되면 배뇨곤란 증상이 다시 나타날 수 있으며, 약물부작용 등으로 약물 치료를 지속하기 어렵거나, 약물 치료 중 효과가 불충분할 경우에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수술은 전립선과 방광을 정밀하게 관찰하고
전립선 요도 압박 배뇨 곤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