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광둥성 광저우의 승객 픽업 장소에서 대기 중인 ‘포니닷에이아이(Pony.ai)’ 자율주행택시. 광저우=신화 뉴시스 김철중 베이징 특파원 《9일 베이징 도심에 있는 베이징남역 주차장. 전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예약한 시간에 맞춰 도착하니 택시 한 대가 기다리고 있었다. 차 지붕에 달린 라이다(LiDAR·레이저 레이더) 장비와 차량 옆면에 붙은 카메라 장비를 통해 자율주행차임을 쉽게 알 수 있었다. 뒷좌석에 올라탄 뒤 모니터 화면에 예약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니 ‘안전벨트를 매라’는 안내 멘트와 함께 차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 도심 정체 구간도 무리 없이 주행 9일 중국 베이징에서 탑승한 자율주행차 뒷좌석의 화면에 주변 차량과 오토바이가 표시돼 있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이날 기자는 자율주행택시를 타고 베이징남역에서 약 20km 떨어져 있는 베이징경제기술개발구까지 이동했다. 베이징 도심 속 기차역 주변에서는 지난달부터 자율주행택시가 운행을 시작했다. 해당 차량은 사람 없이 운행 가능한 4단계 기술력을 갖췄지만, 복잡한 주차장 환경과 운행 시 돌발상황에 대비해 안전 요원이 운전석에 탑승했다. 베이징남역은 철도, 지하철, 버스, 택시가 통합된 종합 교통 허브로 하루 평균 이용객이 30만 명에 달한다. 또 역 주변의 차량 정체도 심하다. 실제 주차장을 나오자마자 우회전 차로에 들어오려는 차들은 물론이고 자전거, 오토바이, 행인까지 뒤엉켜 상습 정체 구간임을 실감케 했다. 택시는 잠시 머뭇거리는가 싶더니 스스로 운전대를 좌우로 움직이면서 조금씩 전진했다. 늘어선 차량들 탓에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문제없이 정체 구간을 빠져나왔다. 잠시 뒤 도착한 유턴 구간. 중국 도로는 대부분 비보호 유턴을 해야 하는 구조다. 반대편 차로의 차량이 오지 않을 때 재빠르게 차를 돌려야 하는데 이 역시 문제없이 해냈다. 뒷좌석 앞에 있는 모니터에는 전방 약 20m에 있는 자동차와 차도 옆 인도를 지나는 행인까지 정확하게 표시됐다. 급출발과 급정거가 없다 보니 승차감 역시 기대 이상이었다. 현재 서비스 가격도 일반 택시 호출서비스와 같은 수준이다.그동안 자율주행차는 일반 운 유럽연합(EU) 깃발이 유럽중앙은행(ECB) 본사 앞에서 휘날리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유럽연합(EU)이 도널드 트럼프 정부와 첫 관세 협상에 나섰지만, 입장 차이만 확인한 채 별다른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EU는 관세 조치가 유예된 90일 동안 협상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이나 결과가 마땅치 않을 경우를 대비한 보복 조치도 여전히 고려하고 있다.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경제안보 담당 집행위원은 지난 1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만나 약 2시간 동안 협상을 진행했다. 미국이 지난달 EU에 부과한 알루미늄·철강 25% 관세 등이 주요 안건으로 다뤄졌으나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진 않았다고 외신들은 전했다.블룸버그 통신은 셰프초비치 집행위원이 미국 측 입장과 목표를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채 회의장을 떠났다고 보도했다. EU 외교관들은 트럼프 정부 내 혼란 탓에 진정한 관세 정책과 협상 전술이 무엇인지 알기 어렵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에 전하기도 했다. 올로프 질 EU 대변인은 “미국 측 의견을 더 들어봐야 한다. 협상에서 미국이 선호하는 결과가 무엇인지 명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협상으로 나아가기 위한 미국 측 기본 조건부터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EU는 자동차를 포함한 모든 상품에 대한 관세를 미·EU 간 철폐하는 상호 무관세 협정 ‘제로 포 제로’를 재차 제안했으나, 미국은 여전히 거부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EU는 또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구매 확대 방안도 제안했지만 트럼프 정부는 이를 관세 철폐 대안으로는 받아들이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결국 미국 측 관계자들은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대로 유럽연합에 20% 상호관세를 부과하고, 철강이나 자동차를 겨냥한 다른 관세도 완전히 철폐하진 않을 것이란 입장을 유지한 것이다. 미국은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이 ‘비관세 장벽’으로 지목해온 디지털 규제, 식품 표준안 등에 대한 불만 사항도 작성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EU는 이에 대해선 보건과 식품, 안전 기준 및 기술과 디지털 시장에 적용되는 규정은 협상 대상이 될 수 없다며 ‘레드라인’을 분명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