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

서울 용산

oreo 0 04.16 20:36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 주민이 살고 있는 여인숙 복도 모습. 고나린 기자 me@hani.co.kr 1인당 탄소 배출량이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우리나라에서도 쪽방촌 주민들의 배출량은 평균의 3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위기는 궁극적으로 불평등 문제임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다.강준모 미국 캔자스대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등이 최근 국제학술지 ‘윤리와 사회복지’에 발표한 논문 ‘기후정의와 탄소 배출 불평등: 소외집단에 대한 사회사업의 딜레마’를 보면, 서울 동자동 쪽방촌 주민들 대상으로 설문조사 등을 벌인 결과 이들의 연간 탄소발자국은 3.98톤(t)으로 나타났다. 이중 가정 소비는 64%, 에너지 소비가 32%, 대중교통이 3.7%를 차지했다. 이들은 연간 평균 1698킬로와트시(㎾h)의 전기와 1984㎾h의 천연가스를 소비해 1.28t의 탄소발자국을 남겼는데, 이는 한국인 평균 전기 소비량 5135㎾h, 서울 거주자 평균 천연가스 소비량 5216㎾h에 견주면 절반에서 3분의 1 수준에 그친다. 이들의 에너지 사용이 이토록 적은 이유는 압도적으로 작은 방, 곧 열악한 주거환경 속에서 살기 때문이다. 논문은 “일반적인 쪽방의 면적은 6.61㎡로, 이는 국토해양부에서 권장하는 최소 면적인 14㎡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고 지적했다.쪽방촌 주민 누구도 차량을 소유하고 있지 않기에 이로 인한 탄소 배출량은 전혀 없었다. 이는 서울의 차량 소유자 한명이 연간 평균 1만8704㎞를 달리면서 3.26t의 탄소를 배출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쪽방촌 주민들은 평균적으로 버스로 795㎞, 지하철로 2401㎞를 이동하면서 각각 0.08t과 0.07t을 배출했다. 설문조사 참가자 48명 가운데 2명만이 병원 방문을 위해 택시를 이용했고, 4명은 가족 방문을 위해 장거리 열차를 이용했을 뿐이다. 전반적으로 쪽방촌 주민과 평균 한국인 사이 교통수단으로 인한 배출량 차이는 29배에 달했으며, 자가용을 제외해도 쪽방촌 주민의 탄소발자국은 평균보다 5배가량 작았다.쪽방촌 주민은 월 평균 41만7842원을 지출하며 2.55t의 탄소발자국을 남겼는데, 이는 도시 거주자의 월 평균 탄소발자국 4.13t보다 훨씬 낮은 수치다. 이들의 소비에선 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6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높았다 도십 속 한탑 제분 공장 [차근호 기자] (부산=연합뉴스) 차근호 기자 = 부산 남구에 있는 밀가루 제조업체 '한탑' 부지의 용도 변경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다.주민들은 공장의 이전을 요구하는 반면, 사업자 측은 현 부지의 용도 변경을 통해 이전 비용을 마련해야 공장을 옮길 수 있다는 입장이다. 부산시는 특혜 시비를 의식해 용도 변경에 난색을 보인다.16일 부산시와 남구, 한탑에 따르면 한탑 공장의 이전 논의가 최근 몇 년간 진행되고 있지만 답보 상태다.2023년 주민협의체인 남구아파트연합회는 남구청과 부산시에 한탑의 이전을 촉구하는 집단 민원을 세 차례 제출했고, 이후 공장에 대한 안전 점검을 요구하며 이전 논의가 본격화됐다.한탑이 1970년 부산 북구에서 남구 현 부지로 이전할 당시만 해도 주변이 바닷가였지만, 현재는 매립과 개발로 인해 아파트와 대학교에 둘러싸인 사실상 고립된 곳으로 변모했다.공장이 24시간 가동되며 소음, 분진 등 피해가 발생하고 매일 50여대의 대형 트럭이 오가자 주민들은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이에 남구는 공장 이전을 촉구했고, 부산시는 한탑 부지의 용도를 기존 '제2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준주거지역'으로 2단계 높이는 '2030 부산도시관리계획 변경 초안'을 지난해 9월 공고하고 주민 의견을 수렴했다. 도로와 붙어있는 위험건물인 저장시설 [한탑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하지만 부지 용도를 한 번에 2단계 올리는 사례는 드물어 특혜 논란이 일었고, 준주거지역으로 변경되면 주거시설이 들어설 가능성이 높아 인근 부경대학교의 일조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결국 부산시는 올해 1월 한탑 부지의 용도 변경은 제외하고 '2030 도시관리계획 변경안'을 재공고했다.그러자 남구아파트연합회가 다시 반발해 부산시의회는 올해 3월에 용도 변경을 다시 검토해보라고 시에 권고했다. 그렇지만 시는 한탑을 제외한 변경안으로 도시계획심의를 조만간 받는다는 방침이다.사업자 측은 주민 민원으로 인해 더는 정상적인 회사 운영이 어렵다며 용도 변경을 촉구하고 있다.그동안 부산시가 공익 목적으로 한탑 부지를 세 차례나 수용했던 만큼, 용도 변경 상향은 특혜가 아니라고 주장한다.한탑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