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사옥 [현대차그룹 제공. DB 및 재판매 금지]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현대자동차·기아·현대모비스는 사외이사의 대표 격인 선임(先任) 사외이사를 두는 제도를 도입해 경영 투명성을 높인다고 27일 밝혔다.3사는 이달 회사별 정기 이사회에서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을 승인했다.초대 선임사외이사로는 현대차 심달훈 사외이사(전 중부지방국세청장), 기아 조화순 사외이사(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현대모비스 김화진 사외이사(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각각 선임됐다.선임사외이사 제도는 사외이사의 권한과 역할을 확충해 이사회 거버넌스를 강화하기 위한 제도다. 국내 금융권은 금융사 지배구조법에 따라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의무로 두고 있다.국내 법령상 비금융권 기업은 이를 도입하지 않아도 되지만,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사외이사의 경영진 견제 기능을 강화해 경영 투명성을 높이고 이사회가 보다 균형 잡힌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하는 취지에서 제도를 도입했다.선임사외이사는 사외이사만이 참여하는 회의를 소집하고 주재할 권한을 갖는다. 사외이사를 대표해 경영진에 경영자료 및 현안 보고를 요청하고, 사외이사들의 의견을 모아 이사회와 경영진에 전달하는 역할도 맡는다.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이번 제도 도입을 통해 사외 이사진이 이사회 의사결정 과정에 더 자주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이와 함께 3사는 선임사외이사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사외이사회'도 신설했다.이사회 개최 전 사외이사들이 이사회 안건에 대해 독립적으로 검토하고 논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원이다. 각 사는 사외이사 전원이 참여하는 사외이사회를 구성해 운영할 방침이다.앞서 3사는 지난달 사별 이사회에서 등기이사 보수한도를 심의·의결하는 이사회 산하 보수위원회와 사외이사 후보 추천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도 확대했다. 이사회 내 위원회를 사외이사 중심으로 구성해 독립성을 증대하기 위한 취지다.이사회 결의로 3사 이사회의 보수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 체제로 전환했다. 사외이사 후보 추천위원회는 사내이사 1인을 제외한 모두가 사외이사로 구성됐다.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과 더불어 사외이사회 신설, 이사회 내 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 확대 등 이사회 제도 개선을 통해 더욱 투명한 경영 의사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바티칸에서 열린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식 방문을 마치고 뉴저지주 뉴어크 리버티 국제공항에 도착, 취재진들에게 손가락 제스처를 취해보이고 있다. AP=연합뉴스 2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 100일(29일) 지지율이 8년 전 1기 때보다 3% 낮았다. 유권자들은 현 정국에 대한 불만이 컸다. 뉴욕타임스(NYT)와 시에나대학이 25일(현지시간)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는 42%, 부정 평가는 54%로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이 8년 전 1기 당시 첫 100일을 맞았을 때 지지도는 45%였다. 2기 트럼프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경제와 이민 문제를 포함한 전 정책 분야에서 나타났다. 경제 정책에 대한 부정 평가는 55%로 긍정적 평가(43%)보다 많았다. 트럼프가 경제를 악화시켰다는 답은 50%에 이르렀다. 개선했다는 답은 21%에 그쳤다. 다른 나라와 교역의 대해서도 부정 평가(53%)가 긍정 평가(42%)보다 많았다. 응답자의 56%는 관세가 “도를 넘었다”고 했다. 오히려 68%는 미국이 동맹과의 무역에서 대부분 혜택을 본다고 답했다. 또 61%는 대통령이 의회의 승인 없이 관세를 부과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트럼프의 주요 공약이자 그의 당선에 큰 역할을 한 이민 정책의 경우에도 부정(51%)이 긍정(47%)보다 많았다. 63%는 대통령이 이스라엘에 항의했다는 이유로 합법적인 이민자를 추방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었다. 우크라이나 전쟁 대응에 대한 긍정 평가는 35%에 불과했다. 부정 평가가 56%에 달했다. 응답자의 54%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정치·경제 체제를 너무 많이 바꿨다고 평가했다. 이런 변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비율은 36%에 불과했고 50%가 부정적이었다. NYT는 트럼프 지지자를 비롯한 유권자 다수가 트럼프 행정부 첫 3개월을 혼란스럽고 무섭다고 표현하고, 대통령의 리더십에 대한 평가가 악화했다고 평가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1∼24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