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지난 24일 서울 종로구 본청에서 만난 정문헌 종로구청장. 곽경근 대기자 “관광객 많이 오는 걸 목표로 삼고 있진 않아요. 문화도시가 되면 관광은 자연스럽게 따라온다고 생각합니다”지난 24일 서울 종로구 본청에서 만난 정문헌 종로구청장은 종로의 정체성을 묻는 말에 이렇게 답했다. 궁궐과 문화재가 몰린 지역이기에 자연스레 관광객의 발길은 이어지겠지만, 정 구청장이 그리고 있는 종로의 미래는 관광지보다는 “정주민이 쾌적하게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는 도시”다.정 구청장의 구상은 신청사 건립 계획에서도 드러난다. 신청사는 과거 정도전 집터이자 조선시대 사복시 터 위에 들어서는 역사적인 부지다. 그는 기존 설계에 큰 변화를 주진 않았지만, 7층 강당을 공연장으로, 수장고는 유리벽으로 개방된 전시 공간으로 바꾸었다. “박물관 같은 청사를 만들고 싶다”는 그의 말처럼, 신청사 곳곳에 문화적 숨결을 불어 넣으려는 시도가 엿보인다.이러한 구상은 단순한 상징성에 그치지 않는다. 정 구청장은 “비상계단을 오픈하고, 공연장도 본격적인 수준으로 바꾸면서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신청사에 들어설 문학관, 음악당, 서예관 등도 모두 주민 접근성과 활용성을 고려한 결과다. “그냥 청사가 아니라, 지역 공동체를 위한 문화 플랫폼으로 기능하길 바란다”는 것이 정 구청장의 의도다.도시 인프라 개선도 함께 이뤄지고 있다. 북촌로와 부암동 일대에는 지하주차장과 주민복합시설이 함께 들어설 예정이다. 이 일대는 주차 공간 부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온 지역으로, 오래전부터 주민들의 숙원 과제로 꼽혀왔다. 다음 달 9일 운영을 시작하는 삼청제1공영주차장을 시작으로, 옥인동·창신소담 공영주차장까지 총 3곳의 신규 공영주차장이 문을 연다. 이를 통해 444면의 주차 공간이 확대된다.정 구청장은 “단순히 주차장을 만드는 게 아니라 병원이나 약국 같은 생활 편의시설도 함께 들어오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차장 부지만 확보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주민들의 일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복합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그는 “예전에는 큰길에 차를 세우고 걸어 들어가는 게 당연했던 시절이 있었지만, 이제는 접근성이 곧 생활의 질”이라며, 도보 이동 중심이었던 종로의 골목길 구조에 실질적인 접근 동선을 더하는 것이 이번 사업의 핵심이라고<앵커> 이재명 민주당 후보는 경선 과정에서 개헌과 대통령실 세종이전, 의대정원 같은 굵직한 현안들에 대한 공약을 내놨습니다. 원전이나 증세 문제에 대해서는 우클릭하는 모습을 보였고, 반면에 어떤 것들은 왼쪽으로 쏠렸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한소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재명/민주당 대선 후보 (지난 11일) : 이념과 진영 대결은 생존 문제 앞에선 모두 사소한 문제일 뿐입니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의 지론은 '잘사니즘'에 담겨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이 후보 공약에는 좌우가 혼재돼 있다는 평이 많습니다. 원전 문제에선 문재인 정부보다 오른쪽으로 갑니다. [이재명/민주당 대선 후보 (지난 25일) : 일방적인 탈원전, 원전 중심 이렇게 하기는 그렇고 에너지믹스가 필요하겠다.] 경선 토론회에서 다른 후보가 진보의 담론인 '증세'를 주장하자 이런 반박을 했습니다. [이재명/민주당 대선 후보 (지난 18일) : 정부의 부담을 민간에 떠넘기는 증세를 추진하는 것은 그렇게 바람직해 보이지 않습니다.] 반면, 상법 개정안 공약의 경우 국회를 통과했다가 거부권으로 재의 끝에 폐기된 기존 안보다도 '좌클릭'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재계가 반대하는 집중투표제나 감사위원 분리선출 확대를 더한, 더 센 상법을 내놓은 겁니다. [이재명/민주당 대선 후보 (지난 21일) : 불공정이 완전히 사라진 시장으로 만들어야…. 대주주들의 지배권 남용을 어렵게 만들어야 합니다.] 재정 부담을 이유로 정부가 거부하고 있는 양곡관리법 개정이나, 의료계 반대로 무산됐던 공공의대의 설립을 재추진하겠다고 나선 것도 비슷한 맥락입니다. [김상일/정치평론가 : 국민의 니즈 (필요)를 최대한 반영하려는 거고요. 어떨 땐 자기 이해관계에 맞춰서 시류와 국민 여론에 좀 맞춰서 가려는 성향이 좀 강합니다.] 경선 과정에서 추진 시기가 구체화한 공약도 있습니다. "지금은 내란 종식에 집중할 때"라며 '즉각 개헌'에는 선을 그어온 이 후보는 이르면 내년 6월 지방선거 때, 늦어도 2028년 총선 때 개헌을 추진하겠다는 시간표를 내
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