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Freepik] 스타틴이 심혈관 질환을 넘어 간세포암까지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간염이나 지방간처럼 만성적으로 간 기능에 부담을 주는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스타틴이 새로운 치료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30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최종기 교수와 미국 하버드의대 레이먼드 정 교수 연구팀은 만성 간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 연구를 통해 스타틴 복용이 간암과 간부전 발생 위험을 낮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미국의사협회지 내과학저널(JAMA Internal 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됐다. 스타틴 복용군, 간암 발생률 4.2%P 낮아 연구팀은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이 속한 병원 네트워크 메스 제너럴 브리검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40세 이상 만성 간질환자 1만6501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들은 2000년부터 2023년 사이에 간질환 진단을 받은 환자들로 간암이나 간부전 이력이 없는 이들이다. 조사 대상은 스타틴 복용 여부에 따라 복용군 3610명과 비복용군 1만2891명으로 나뉘었다. 10년 추적 결과 스타틴 복용군의 간암 발생률은 3.8%로 집계됐으며 비복용군은 8.0%를 기록했다. 스타틴 복용 시 간암 발생 위험이 4.2%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또한 간성뇌증과 복수 정맥류 출혈 등으로 대표되는 간부전 발생률 역시 복용군은 10.6%였으며 비복용군은 19.5%로 나타났다. 스타틴이 간 기능 저하를 억제하는 데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것이다. 복용 기간 길수록 간 섬유화 억제 효과도 커져 복용 기간에 따라 효과 차이도 뚜렷했다. 누적 600일 이상 스타틴을 복용한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간암 위험이 4.5%포인트 낮았고 간부전 발생 위험도 10.4%포인트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간 섬유화 진행 여부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됐다. 초기 중등도 섬유화를 보인 환자 중 스타틴 복용자는 10년 내 고위험군으로 악화된 비율이 14.7%였던 반면 비복용군은 20.0%였다. 반대로 고위험군에서 중등도로 회복한 비율은 복용군이 31.8%로 비복용군의 18.8%를 크게 앞질렀다. 최종기 교수는 "이번 연구는 대규모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타틴의 간질환 예방 효과를 명확히 보여준 결과"라며 "만성 간질환 환자에게도 스타틴 사용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사진=Freepik] 스타틴이 심혈관 질환을 넘어 간세포암까지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간염이나 지방간처럼 만성적으로 간 기능에 부담을 주는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스타틴이 새로운 치료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30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최종기 교수와 미국 하버드의대 레이먼드 정 교수 연구팀은 만성 간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 연구를 통해 스타틴 복용이 간암과 간부전 발생 위험을 낮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미국의사협회지 내과학저널(JAMA Internal 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됐다. 스타틴 복용군, 간암 발생률 4.2%P 낮아 연구팀은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이 속한 병원 네트워크 메스 제너럴 브리검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40세 이상 만성 간질환자 1만6501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들은 2000년부터 2023년 사이에 간질환 진단을 받은 환자들로 간암이나 간부전 이력이 없는 이들이다. 조사 대상은 스타틴 복용 여부에 따라 복용군 3610명과 비복용군 1만2891명으로 나뉘었다. 10년 추적 결과 스타틴 복용군의 간암 발생률은 3.8%로 집계됐으며 비복용군은 8.0%를 기록했다. 스타틴 복용 시 간암 발생 위험이 4.2%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또한 간성뇌증과 복수 정맥류 출혈 등으로 대표되는 간부전 발생률 역시 복용군은 10.6%였으며 비복용군은 19.5%로 나타났다. 스타틴이 간 기능 저하를 억제하는 데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것이다. 복용 기간 길수록 간 섬유화 억제 효과도 커져 복용 기간에 따라 효과 차이도 뚜렷했다. 누적 600일 이상 스타틴을 복용한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간암 위험이 4.5%포인트 낮았고 간부전 발생 위험도 10.4%포인트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간 섬유화 진행 여부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됐다. 초기 중등도 섬유화를 보인 환자 중 스타틴 복용자는 10년 내 고위험군으로 악화된 비율이 14.7%였던 반면 비복용군은 20.0%였다. 반대로 고위험군에서 중등도로 회복한 비율은 복용군이 31.8%로 비복용군의 18.8%를 크게 앞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