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노필의 미래창역대 가장 가까워…태양 질량
곽노필의 미래창역대 가장 가까워…태양 질량 3400배22년전 한국 과학기술위성 자료 활용310광년 거리에 있는 에오스 분자구름을 묘사한 그림. 맨눈으로 볼 수 있다면 이런 모양과 크기(달의 40배)일 것이라고 상상해서 그린 그림이다. 럿거스대 제공한국천문연구원을 포함한 국제 공동연구진이 한국 최초의 천문관측위성 관측 자료를 이용해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분자구름을 찾아냈다.분자 구름은 수소와 헬륨을 비롯한 다양한 원자와 분자로 이루어진 기체 덩어리로 온도가 차갑고 밀도는 대부분 낮지만 물질이 압축되는 영역도 있어 향후 별과 행성이 만들어질 수 있다.연구진은 2003년 발사된 한국 과학기술위성 1호의 원자외선분광기(FIMS) 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구에서 310광년 떨어진 거리에서 겉보기 기준으로 달의 40배 크기 만한 초승달 모양의 분자구름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이 분자구름에 에오스(EOS)란 이름을 붙였다. 에오스는 이번 연구 프로젝트의 이름이자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새벽의 여신 이름이다.분자구름의 위치는 태양을 둘러싸고 있는 뜨거운 국부거품(Local Bubble)의 가장자리다. 국부 거품은 성간 물질의 밀도가 주변보다 낮아 마치 구멍이 난 것처럼 보이는 기체 공간을 말한다. 1천만~2천만년 전 사이에 발생한 초신성 폭발이 주변 성간 물질을 밀어내 밀도가 낮고 온도가 높은 거품을 형성했다고 알려져 있다.이번에 태양에서 가장 가깝게 발견된 분자운 EOS의 거리. 태양으로부터 약 310광년 떨어져 있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별 형성 가능성이 있는 수소 저장소우주에서 가장 풍부하게 분포해 있는 수소분자는 별 탄생 구역을 찾을 수 있는 중요한 물질이지만, 원자외선을 제외한 다른 파장에서는 관측이 어렵다. 또 원자외선은 지구 대기에 쉽게 흡수되기 때문에 지상에서는 수소 분자를 감지하기가 어렵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 한국 과학기술위성이 20년 전에 관측한 원자외선 자료가 분자구름을 발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이번 발견은 원자외선을 통해 분자 구름을 찾아낸 최초의 사례다.현재 천문학자들이 분자구름을 발견하는 데 쓰고 있는 일반적인 방법은 일산화탄소를 찾는 것이다. 일산화탄소는 탄소 원자 하나와 산소 원자 하나가 합쳐진 분자다. 파장이 길어서 지상의 전파천문대에서도 관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분자구름에 일산화탄소 함량이 적을 경우엔 찾기가 어렵다. 이번에 발견한 에오스가 바로 이런 사례에 해당한다.연구진의 일원인 뉴욕대 타비샤 다르마와르곽노필의 미래창역대 가장 가까워…태양 질량 3400배22년전 한국 과학기술위성 자료 활용310광년 거리에 있는 에오스 분자구름을 묘사한 그림. 맨눈으로 볼 수 있다면 이런 모양과 크기(달의 40배)일 것이라고 상상해서 그린 그림이다. 럿거스대 제공한국천문연구원을 포함한 국제 공동연구진이 한국 최초의 천문관측위성 관측 자료를 이용해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분자구름을 찾아냈다.분자 구름은 수소와 헬륨을 비롯한 다양한 원자와 분자로 이루어진 기체 덩어리로 온도가 차갑고 밀도는 대부분 낮지만 물질이 압축되는 영역도 있어 향후 별과 행성이 만들어질 수 있다.연구진은 2003년 발사된 한국 과학기술위성 1호의 원자외선분광기(FIMS) 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구에서 310광년 떨어진 거리에서 겉보기 기준으로 달의 40배 크기 만한 초승달 모양의 분자구름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이 분자구름에 에오스(EOS)란 이름을 붙였다. 에오스는 이번 연구 프로젝트의 이름이자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새벽의 여신 이름이다.분자구름의 위치는 태양을 둘러싸고 있는 뜨거운 국부거품(Local Bubble)의 가장자리다. 국부 거품은 성간 물질의 밀도가 주변보다 낮아 마치 구멍이 난 것처럼 보이는 기체 공간을 말한다. 1천만~2천만년 전 사이에 발생한 초신성 폭발이 주변 성간 물질을 밀어내 밀도가 낮고 온도가 높은 거품을 형성했다고 알려져 있다.이번에 태양에서 가장 가깝게 발견된 분자운 EOS의 거리. 태양으로부터 약 310광년 떨어져 있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별 형성 가능성이 있는 수소 저장소우주에서 가장 풍부하게 분포해 있는 수소분자는 별 탄생 구역을 찾을 수 있는 중요한 물질이지만, 원자외선을 제외한 다른 파장에서는 관측이 어렵다. 또 원자외선은 지구 대기에 쉽게 흡수되기 때문에 지상에서는 수소 분자를 감지하기가 어렵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 한국 과학기술위성이 20년 전에 관측한 원자외선 자료가 분자구름을 발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이번 발견은 원자외선을 통해 분자 구름을 찾아낸 최초의 사례다.현재 천문학자들이 분자구름을 발견하는 데 쓰고 있는 일반적인 방법은 일산화탄소를 찾는 것이다. 일산화탄소는 탄소 원자 하나와 산소 원자 하나가 합쳐진 분자다. 파장이 길어서 지상의 전파천문대에서도 관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분자구름에 일산화탄소 함량이 적을 경우
곽노필의 미래창역대 가장 가까워…태양 질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