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오닉5 차주인 이영흠 씨는 3년간 66만㎞를 달렸다. 기자재를 설치하고 수거하는 영업사원 직업 특성상, 유지비용이 적게 들고 장거리를 편안하게 다닐 수 있는 차량을 찾다가 아이오닉5를 구입했다. (현대차그룹 제공)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된 영상이 하나 있다. 3년 만에 무려 66만㎞를 달렸다는 아이오닉5 차량 이야기를 담은 콘텐츠다. 3년간 하루도 빼놓지 않고 매일 600㎞를 달려야 달성 가능한 기록에 누리꾼 사이에서는 갑론을박이 펼쳐지기도 했다. 결과는 ‘진실’이다. 현대차그룹은 데이터 확보 차원에서 해당 차량 배터리를 수거해 자체 분석했다. 배터리 잔존 수명은 87.7%로 확인됐다. 현대차 입장에선 자사 전기차의 높은 내구성과 완성도를 실제 사례로 입증한 셈이다.이슈가 된 차량은 아이오닉5 롱레인지 RWD 모델이다. 차주인 이영흠 씨는 기자재를 설치하고 수거하는 영업사원으로, 직업 특성상 하루에 많게는 900㎞를 운전하는 일도 빈번했다. 유지비용이 적게 들고 장거리를 편안하게 다닐 수 있는 차량을 찾다가 전기차인 아이오닉5를 구입했다. 이 씨는 2년 9개월 동안 58만㎞를 주행한 시점에 현대차로부터 ‘배터리 등 주요 부품을 무상으로 교체해주겠다’는 제안을 받았다. 현대차 기아 연구소는 데이터 확보 차원에서 해당 차량 배터리를 연구했다. (현대차그룹 제공) 이 씨는 아이오닉5 구입 후 2년 9개월 동안 58만㎞를 주행한 시점에 현대차그룹으로부터 연락을 받았다. 현대차·기아 남양연구소는 이 씨에게 “배터리와 전기 모터 등 주요 부품을 무상으로 교체해주겠다”는 제안을 하며 해당 차량 배터리를 연구해보고 싶다고 했다. 전기차 내구 성능 개발을 위한 데이터 확보가 고객 협조를 구한 배경이다. 해당 아이오닉5는 연구소 제안을 받은 당시에도 고장 없이 정상 주행이 가능한 상태였다. 그 전까지는 한 번도 수리하거나 교체한 적 없었던 부품들이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내구성 경쟁력 서울 여의도 TP타워 키움증권 사옥 /사진=키움증권 지난달 이틀 연속 전산장애라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 키움증권에 대해 금융감독원이 검사에 나선다.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오는 7일 주식매매 주문체결 지연 관련 전산장애가 발생한 키움증권에 대해 수시검사에 돌입한다. 금감원은 프로그램 오류 등으로 10분 이상 전산 업무가 지연될 경우 전자금융사고에 해당한다고 본다. 키움증권의 전산장애 원인이 뭔지, 법 위반 사항은 없는지, 재발방지 대책은 무엇인지 등을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전산사고는 미국의 관세 발표, 대통령 탄핵 심판이 있던 지난달 3일과 4일 연이틀 발생했다. 이틀 연속 오류가 발생한 건 초유에 사태인 데다 중요 이슈로 증시가 크게 요동치는 상황이어서 개인투자자들의 불만이 쏟아졌다. 더구나 키움증권은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증권사다.키움증권 전산장애는 이틀간 세차례 발생했다. 지난달 3일 증시 개장 직후인 오전 9시5분부터 키움증권 MTS(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HTS(홈트레이딩시스템)에서 매수·매도 체결이 지연됐다. 전산오류는 1시간가량 이어졌다.문제는 다음 날인 4일에도 발생했다. 이날 오전 10시50분쯤 키움증권은 고객 공지를 통해 주문 불안정 상황이 정상화됐다고 알렸으나 오전 11시20분쯤 다시 주식 매매 지연 현상이 나타났다.당시 키움증권은 "시스템 이용에 불편을 끼쳐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주문 지연에 따른 불편으로 손실이 발생한 경우 이달 9일까지 전자 민원을 접수하면 순차적으로 신속하게 검토 후 회신하겠다"고 말했다. 키움증권은 피해를 입은 투자자들에 대해 보상절차를 밟고 있다.다만 전산장애 원인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업계에서는 키움증권의 자동주문전송시스템(SOR)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 아니냐고 추측한다. SOR은 대체거래소(ATS)인 넥스트레이드 출범으로 생긴 기능으로, 넥스트레이드와 한국거래소 등 두 거래소를 비교해 투자자에게 더 유리한 곳으로 거래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미국 관세와 탄핵 심판 등으로 주문이 몰리면서 이 시스템에 문제가 생긴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키움증권은 넥스트레이드 거래에 참여하는 증권사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