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방송 통해 빽햄 알리고 연돈 프랜차이즈 사업까지 백종원 논란, 방송사도 자유롭지 않아[미디어오늘 금준경 기자] ▲ SBS '맛남의 광장' 빽햄 공개 당시 영상 갈무리.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여러 논란 속에도 방송활동을 강행하고 있다. tvN '장사천재 백종원' 시즌3는 해외에서 촬영 목격담이 전해졌다. 백종원 대표가 출연하는 MBC '남극의 셰프'는 방영이 연기되고 있다. 넷플릭스 예능 흑백요리사2에 백종원 대표가 심사위원으로 촬영한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최근 백종원 대표는 △빽햄의 비싼 가격과 부적절한 해명 △원산지 허위기재 △지역축제 비위생적 운영 △지역농가 살린다면서 제품에 관련 성분 비율이 미미한 사실 등이 잇따라 논란이 됐다. 여러차례 사과와 대책을 내놨지만 초기 대처를 잘못했고, 사안별로 명확한 사과가 이뤄지지 않다보니 분노는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백종원 대표를 둘러싼 논란 중엔 전부터 지적되다 이번 논란을 계기로 관심이 커진 경우도 있다. 바로 '방송 사유화'다. 최근 유튜브에는 백종원 대표가 과거 출연한 방송을 재편집해 방송이 사익에 이용된다고 지적하는 영상이 다수 올라오고 있다. 백종원 대표 논란과 관련한 기사나 영상 댓글에도 방송사의 문제를 지적하는 경우가 많다. 방송사 PD가 뇌물을 받았거나 함께 짬짜미를 했을 수 있다는 근거 없는 과도한 주장마저 제기된다.시청자들이 과도한 의심까지 하는 이유는 이번 논란에서 방송사도 자유롭지 않기 때문이다. 백종원 대표는 “지역농가'를 살리겠다”는 명분으로 '사익'까지 '공익'처럼 포장해왔고 이 과정에서 방송사는 훌륭한 '도구'가 됐다. ▲SBS '맛남의 광장' 빽햄 공개 당시 영상 갈무리. 특히 '빽햄'을 SBS가 홍보한 방식이 논란이 되고 있다. 백종원 대표는 SBS '맛남의 광장'에서 '빽햄'을 만들어 공개한다. 방송에는 '한돈 뒷다릿살 프로젝트', 'K-햄 대공개'라는 자막을 띄웠다. 국내산 돈육을 쓰는 국내 햄 3월 28일 발생한 지진으로 무너진 미얀마 인와의 한 불교 사원에서 건물 안에 있던 불상이 외부에 노출돼 있다. AFP 연합뉴스 미얀마 군사정권이 지난 3월 발생한 강진 이후 휴전 중에도 공습을 계속해 민간인 200명 이상이 희생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AFP통신에 따르면 볼커 튀르크 유엔 인권최고대표는 전날 성명을 통해 강진 이후 지난달 29일까지 군정이 171회 공습을 포함해 반군 통제 지역을 최소 243회 공격했고, 이로 인해 민간인이 200명 이상 사망했다고 밝혔다. 튀르크 대표는 “강진 이후 휴전을 선언하고도 민간인을 상대로 한 폭력이 계속됐다”며 “진정성 있고 전국적인 휴전을 시행하고 민정으로 복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 년간 내전에 지진까지 겹쳐 미얀마 국민들이 매우 큰 고통을 겪고 있다”며 “2000만명 가까운 미얀마인이 인도주의적 지원에 의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들에게는 평화와 보호가 꼭 필요하다”며 “국민을 최우선으로 두고 평화롭게 위기를 해결하라”고 군정에 촉구했다. 지난 3월 28일 미얀마 중부에서 규모 7.7 강진이 발생해 수도 네피도와 제2 도시 만달레이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 막대한 피해가 났다. 지금까지 약 3800명이 사망했고, 부상자는 5100명에 달한다. 군정은 이례적으로 국제사회에 지원을 호소했고, 지진 복구를 위한 휴전도 선언했다. 그러나 휴전 기간에도 군부가 반군 통제 지역에 계속 공습을 가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약 한 달간의 휴전 기간이 끝난 지난달 30일 군정은 연장 없이 휴전을 종료했다. 반면 소수민족 무장단체 연합 ‘형제동맹’은 광범위한 지진 피해와 여진을 이유로 이달 31일까지 휴전을 연장한다고 1일 밝혔다. 미얀마민족민주주의동맹군(MNDAA), 타앙민족해방군(TNLA), 아라칸군(AA)으로 구성된 형제동맹은 2023년 10월 말 중국과 접한 북부 샨주에서 미얀마군을 상대로 합동 작전을 시작했다. 이후 민주 진영 임시정부 국민통합정부(NUG) 산하 시민방위권(PDF)과 다른 지역 소수민족 무장단체들이 가세해 군정은 2021년 쿠데타 이후 최대 위기에 처했다. 박준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