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고려궁지. 궁이라기 보다는 읍성 보다도 작은 규모이다.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인천광역시 강화도가 과연 지리적으로 몽골 침략에 마지막까지 항전하던 곳이 맞는냐는 논란은 여전히 사학계를 달군다.아직도 준동하고 있는 일제 이후 식민사학자들이 한민족의 활약범위를 한반도에 가두어 놓으려고 선사~현대 까지 워낙 방대하게 역사를 왜곡해 놓았기 때문에, 최근 중국 서부 연안 즉 인천광역시 강화도로부터 엎어지면 코닿을 지역에 산재한, 한국과 같은 이름의 지명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식민자학자들이 만들어 놓은 고려 지도를 보면 강화도는 최전방이다. 왕이 최전방으로 피신한다? 사실상 있을 수 없는 설정이다.그런데 바다건너 산동지방에 가면 강화가 있다. 발해가 망한 뒤 만주 일부지역은 물론 산동성 일대까지 고려의 영토였다는 고증들이 속속 나오는 가운데, 이 산동성 강화는 몽골족의 침략루트로 보면 최후방 지역이다. 즉 왕이 피신할 만 한 지역이다.심지여 삼별초 기록에 나오는 지역명, 삼별초 최후항전지역 제주 역시 산동성 인근에 있다. 산동성 옆에는 태안이 있다. 두 개의 태안은 현재 자매결연관계이다.인천 강화에는 고인돌 유적까지 있어 선사시대부터 매우 중요한 곳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여러차례 외침과 서양의 침략 즉 양요를 물리친 강화도 돈대 어쨌든 인천광역시 강화는 역사의 아픔을 지닌 고려성이 있고, 18일부터 국민 걷기대회의 무대가 될 코리아둘레길 ‘DMZ평화의 길’이 시작된다.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견뎌냄으로써 프랑스와 미국 역시 한국을 만만히 봐서는 안되겠다는 인식을 심어준 곳이다. 전등사의 호국정신 역시 우리의 귀감이 된다. 대구 방직의 모태가 된 강화도 소창 섬유기술, 한옥 성당의 운치 역시 빼놓을수 없다.청정 자연환경, 문화유산 수많은 생각이 교차할 강화는 인문학 및 자연 생태 여행의 종합판이다. 이 작은 섬에 많은 족적들이 보이는 것은 왜일까.고려-몽골 전쟁때 강화가 이 강화인지, 저 강화인지는 좀더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최소한 인천광역시 강화는 고려의 중요한 거점으로서 많은 의미를 현대인에게 제공한다. 옛 영광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오른쪽)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준금리 인하 요구에 응하지 않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강도 높게 압박하면서 대통령에게 연준 의장 해임 권한이 있는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몇개월간 파월 의장을 해임하는 방안을 은밀히 논의해왔다는 미 월스트리트저널 보도도 나왔다. 그러나 대통령이라고 할지라도 독립기관이자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준 수장을 마음대로 해임할 권한은 없다는 게 일단은 대체적 시각이다.시사주간지 타임은 18일(현지시간) 트럼프에게 파월 의장을 해임할 권한이 있는지에 대해 "법적으로 이에 대한 답은 복잡하고 검증된 바가 없다. 지금껏 어떤 연준 의장도 대통령에 의해 쫓겨난 적이 없다"고 짚었다.연방준비법상 의장과 이사들은 부정행위 등 '정당한 사유'가 있을 때는 해임될 수 있다. 그러나 정책 관련 의견불일치는 이러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게 통설이다.싱크탱크 브루킹스 연구소의 연준 전문가 세라 바인더는 "(해임을 둘러싼 법적 분쟁시) 법원은 일반적으로 금리 설정과 관련한 의견충돌을 정당한 사유로 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실제 기존 판례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상당히 불리한 편이다.1933년 프랭클린 루스벨트 당시 미 대통령은 뉴딜 정책에 반대하는 윌리엄 험프리 당시 연방거래위원회(FTC) 위원장을 해임했으나, 2년 뒤인 1935년 연방대법원은 이러한 조처가 불법적이라고 판결했다.연방거래위원회법은 부정행위나 직무태만, 무능 등 사유가 아니면 위원장을 해임할 수 없도록 했는데 정치적 견해가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쫓아낸 건 잘못이라는 이유에서였다.이 판례는 이후 연준을 비롯한 미국의 모든 독립기관 수장들이 정책 결정과 관련한 정치적 압박에 굴하지 않도록 지켜주는 버팀목 역할을 했다고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FT)는 소개했다.변수로는 미 연방대법원이 판례를 뒤집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꼽힌다. 미 연방 대법관 구성은 트럼프 대통령이 1기 집권(2017∼2021년) 당시 임명한 3명을 포함, 현재 6대 3으로 보수가 우위에 있다.연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