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능력 평가 순위 570위 중소 건설사
시공능력 평가 순위 570위 중소 건설사 상지건설. 지난달까지는 하루 거래량이 1만주도 안 되는 ‘잊힌 주식’이었다. 이달 1일 주가는 3165원, 시가총액은 100억원대에 머물렀다.그런데 2일부터 상황이 급변했다. 이재명 민주당 전 대표와 관련된 테마주라는 소문이 SNS와 유튜브 주식 채널을 타고 퍼지며, 주가가 17일까지 14배 뛰었다. 거래소가 매매를 중단시킨 이틀을 제외하고 10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친 결과다. 17일 종가는 4만3400원, 시가총액은 1728억원으로 불어났다.상지건설이 테마주로 묶인 이유는 황당하다. 사외이사였던 임무영씨가 2022년 대선 당시 이재명 캠프에 참여한 전력이 있다는 것. 하지만 그는 지난해 3월 임기가 끝나 현재는 회사와 관련이 없을뿐더러, 이번 대선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도 불분명하다.조기 대선을 앞두고 정치 테마주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미국발 관세전쟁 여파로 투자 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도 국내 정치 테마주는 급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이달 18일까지 주가 상승률 상위 10종목 중 9개가 이재명 전 대표(7개) 또는 한덕수 총리(2개) 관련 테마주다.◇민주당 성향 유튜버가 투자?… 떴다방 뺨치는 대선 테마주“호재요? 있다면 저희도 말씀드리고 싶지요. 이건 시장에서 도는 얘기라서 저희도 말씀드리기 뭣하긴 한데, 저희 회장님이 이재명 후보와 같은 경주 이씨라는 것 외에는….”(태광그룹 관계자)이달 들어 태광그룹 계열사인 흥국화재 우선주 주가는 120% 가까이 뛰었다. 6월 3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주가가 급등하는 정치인 테마주들은 흥국화재처럼 해당 정치인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픽=김성규 ◇요지경 테마주들최근 주가 상승률 상위권에 이름을 올린 테마주들은 이재명 후보가 ‘인공지능(AI)에 100조원 투자’ 공약을 내놓으며 방문한 퓨리오사AI라는 회사와 관련된 곳이 많다. 이 후보가 당선된다면 정책 수혜가 기대되기는 하지만, 회사 재무구조나 성장성 등은 들여다보지도 않은 채 그저 관련성 하나만으로 매수세가 몰리고 있다.한덕수 총리와 관련된 테마주도 양상은 비슷하다. 이달 주가 상승률 4위인 시공테크는 최대 주주가 한덕수 권한대행과 과거 국민경제자문회의에서 함께 활동한 이력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급등세를 탔다.오리엔탈정공은 이재명 후보 미국과 무역 협상에 나선 인도네시아가 미국산 에너지와 농산물 등의 수입을 지금보다 연 최대 190억 달러(약 27조원) 늘리겠다고 제안했습니다. 또 미국과의 협상을 60일 내 마무리하기로 했습니다.현재 인도네시아 대표단을 이끌고 미국 워싱턴에서 미국과 무역 협상을 벌이고 있는 아이를랑가 하르타르토 경제조정장관은 온라인 기자회견을 통해 “인도네시아는 미국으로부터 밀, 대두 등 농산물과 원유, 액화천연가스(LNG), 휘발유 등 에너지, 미국산 기계 장비 등의 수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그는 이를 통해 미국과 교역에서 흑자를 해소하고 고율 관세를 피할 계획이라며 기존보다 에너지 수입을 100억 달러(약 14조2천억원) 늘리는 등 최대 19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 수입 확대를 제안했다고 설명했습니다.이 밖에도 인도네시아는 자국 내 미국 기업들에 대한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고 인센티브도 제공하는 등 비관세 장벽을 완화할 것을 약속했다며 대신 인도네시아는 섬유와 가구 새우 등 20개 주요 수출 품목에 대해 경쟁국들과 동등하거나 더 낮은 수준의 관세 혜택을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아이를랑가 장관은 또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회의했고, 다음 주에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회동할 계획이라며 미국과의 무역 및 투자 파트너십 협상 틀에 합의했고, 모든 협상을 60일 이내에 마무리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습니다.인도네시아는 지난해 미국을 상대로 144억 달러(약 20조5천억원)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습니다.인도네시아의 대미 주요 수출 품목은 전선과 같은 기타 전자기기와 팜유, 의류, 신발, 타이어 등이며 주요 수입 품목은 대두, LPG, 원유 등입니다.앞서 미국은 인도네시아에 32%의 상호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시공능력 평가 순위 570위 중소 건설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