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은 제 남편 다니엘이 한국인이에요. 서울에 살고 있는 다니엘의 가족 앞에서 춤출 수 있어 이번 공연이 더 기대됩니다.”(이자벨라 보일스턴) “한국 관객에게 ‘신디스’(The Cindies) 춤을 드디어 선보일 수 있어 기뻐요. K푸드를 맛볼 생각에 특히나 설레는 것일지도 몰라요. 부대찌개를 정말 좋아하거든요.”(제임스 화이트사이드)세계 최고의 클래식 발레단으로 평가받는 미국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ABT)’가 24∼27일 서울 강남구 GS아트센터에서 내한 공연 ‘클래식에서 컨템포러리까지’을 갖는다. ABT ‘간판 무용수’로 세계적인 발레 스타인 이자벨라 보일스턴(39)과 제임스 화이트사이드(41)는 방한을 앞두고 18일 가진 동아일보 서면 인터뷰에서 기대와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화이트사이드가 언급한 ‘신디스’란 두 사람이 막역한 친구이자 최고의 파트너인 서로를 부르는 애칭이다. 발레계에서 두 무용수를 지칭하는 고유명사처럼 통용된다. 신디스는 이번 내한 공연에서 단막극‘네오’(Neo)로 첫 한국 무대를 선보인다. ‘클래식에서 컨템포러리까지’는 ABT가 발레단 차원에서 13년 만에 가지는 내한 공연. 한국인 수석무용수 서희, 안주원 등을 포함한 무용수 약 70명이 나흘간 단막극 5편을 펼친다. ABT는 1939년 창립된 미 국립발레단으로, 러시아 마린스키 발레단 등과 더불어 세계 최정상으로 꼽힌다. 보일스턴은 2006년 입단 뒤 2014년부터 수석무용수로 활동해 왔으며, 화이트사이드는 2012년 입단한 이듬해 수석 무용수로 발탁됐다.두 사람은 ‘백조의 호수’ 오데트 공주와 지그프리트 왕자, ‘호두까기 인형’ 소녀 클라라와 왕자 등 다수의 작품에서 합을 맞췄다. 보일스턴은 “제임스는 열정적이고 강렬한 춤을 보여준다. 객석에서도 그의 감정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며 “서로 말하지 않아도 타이밍을 읽을 수 있기에 즉흥적 표현이 가능하다”고 했다. 화이트사이드도 “무대 위에서도, 밖에서도 의지가 된다”며 “모두의 인생에는 ‘신디’ 같은 존재가 필요하다”고 했다.26일 공연되는 ‘네오’는 ABT 상주 안무가인 알렉세이 라트만스키가 두 사람을 위해 창작한 9분 길이의 2인무. 팬데믹을 겪으며 ‘새로운 시도’가 필요했던 환하게 인사하는 프란치스코 교황 (서울=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이 21일(현지시간) 오전 88세로 선종했다고 교황청이 발표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즉위 이듬해인 2014년 8월 14일부터 18일까지 4박 5일 일정으로 한국을 찾아 평화와 위로 그리고 화해의 메시지를 전했다. 사진은 2014년 8월 14일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한 뒤 영접나온 내빈들에게 손을 들어 인사하는 교황 모습. 2025.4.21 [연합뉴스 자료사진] photo@yna.co.kr (전국종합=연합뉴스) 2013년부터 12년간 전 세계 14억 가톨릭 신자를 이끌어온 프란치스코 교황이 21일(현지시간) 88세로 선종하면서 각 천주교 교구도 잇따라 추모와 애도를 표한다.한국천주교회 주교회의 의장 이용훈 주교는 이날 오후 교황 선종에 대한 애도문을 발표했다. 이 주교는 "교황님께서는 우리나라에서 여러 끔찍한 사회적 참사가 발생할 때마다 마음 아파하시며 희생자는 물론 유가족과 더 넓게는 우리나라 국민 모두를 위로하셨다"며 "교황님께서 이러한 연대로써 인류 죄악을 짊어지시고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적 사랑을 구체적으로 보여 주셨음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또 "교황님께서는 지상 마지막 여정을 하느님 섭리에 오롯이 내맡기시면서도 끝까지 세상에 관심 두시며 전쟁과 반목 없는 온전한 평화를 염원하셨다"며 "교황님과 함께 한 모든 시간이 희망으로 가득하였음을 고백하며 주님 안에서 영원한 안식과 평화를 누리시기를 기도드린다"고 밝혔다.천주교 수원교구는 베네딕토 16세 전 교황 선종 당시 전례에 따라 정자동주교좌성당을 분향소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당시엔 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정각마다 위령미사를 봉헌했다.아울러 로마 교황청에서 장례 일정이 확정되면 장례미사가 봉헌되는 시간에 맞춰 정자동주교좌성당에서도 장례미사를 봉헌할 예정이다.수원교구 관계자는 "베네딕토 16세 전 교황님 선종 당시엔 3일간 위령미사를 봉헌했는데 이번에도 비슷한 수준으로 추모하게 되지 않을까 싶다"며 "이제 막 소식이 전해진 상황이라 아직 장례와 관련한 공식 회의를 열지는 못한 채 앞으로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서울=연합뉴스) 2013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