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뉴스 이유주 기자】

【베이비뉴스 이유주 기자】

oreo 0 00:15
【베이비뉴스 이유주 기자】 【베이비뉴스 이유주 기자】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17일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페어몬트호텍에서 주한유럽상공회의소(ECCK) 요청으로 한국 내 유럽기업들을 대상으로 '저출생 대응과 기업의 지속가능 성장'에 대한 특별강연을 진행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일·가정양립이 가능한 기업문화의 구축은 생산연령인구 감소시대를 살아가는 기업들의 새로운 경쟁력이자 생존전략이다."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17일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페어몬트호텍에서 주한유럽상공회의소(ECCK) 요청으로 한국 내 유럽기업들을 대상으로 열린 '저출생 대응과 기업의 지속가능 성장'에 대한 특별강연에서 이같이 강조했다.주 부위원장은 한국 내 유럽기업들의 선진적인 일·가정양립제도를 높게 평가하면서, "국내 기업들도 동참할 수 있도록 유럽기업들이 선도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아울러 'ESG 경영(환경·책임·투명경영)'을 일․가정 양립이 강조되는 'EFG 경영'으로의 전환도 제안했다. EFG는 Environmental Family Governance로 가족친화성 경영 모델이다.이어 유럽 선진기업들에 비해 한국의 일·가정양립환경 조성이 더딘 이유로 ▲사내눈치, ▲유독 긴 통근시간, ▲낮은 양성평등 문화 등 세 가지를 꼽은 주 부위원장은 이를 해소하기 위한 기업의 적극적인 노력을 강조했다.주 부위원장은 "사내눈치를 줄이기 위해 정부가 마련한 대체인력지원금, 동료업무분담금 등 제도적 지원은 최소한의 수준"이라며, "임신·출산·양육기 전반에 걸쳐 남녀 불문하고 동료·상사·고용주의 눈치를 보지 않고 다양한 유연근무를 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기업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또한 우리나라의 평균 통근시간이 OECD 국가 평균 28분보다 두 배가 긴 58분이고, 특히 수도권은 120분에 이르는 것도 일·가정양립을 어렵게 하는 이유 중 하나다.주 부위원장은 "근무시간도 길고 통근에도 오랜 시간을 쓰다 보니 근로자들이 가정에서 육아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이 매우 적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기업이 출퇴근 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시차출퇴근제 등 유연한 근무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더불어 주 부위원장은 유럽기업들이 선진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양성평등 문화가 한국에도 확산 2023년 1월 31일(현지시간) 콩고민주공화국 도착한 프란치스코 교황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유현민 특파원 = 아프리카 각국 정상들은 21일(현지시간) 프란치스코 교황의 선종 소식에 잇따라 깊은 애도를 표했다.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은 성명을 내고 "평화, 사랑, 연민의 목소리였던 교황의 선종은 전 세계에 큰 손실"이라고 말했다.그러면서 "교황은 관용을 증진하고 대화의 다리를 놓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며 "팔레스타인 대의의 옹호자로서 정당한 권리를 옹호하고 분쟁 종식을 촉구한 탁월한 인물이었다"고 애도했다고 AFP통신이 전했다.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도 "그는 겸손함, 포용과 정의에 대한 확고한 헌신, 가난하고 취약한 사람들에 대한 깊은 연민을 통해 섬기는 리더십의 모범을 보여줬다"며 "가톨릭 신자와 기독교계의 큰 손실"이라고 말했다.이어 "그의 강한 윤리적, 도덕적 신념은 신앙이나 배경과 관계없이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감을 줬다"고 덧붙였다.아비 아머드 에티오피아 총리는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그의 영혼이 영원한 평화 속에 안식하기를, 그리고 인류에 대한 연민과 겸손, 봉사의 유산이 다음 세대에게 계속 영감을 주기를 바란다"고 썼다.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은 성명을 내고 "교황은 교회와 세계의 지도자로서 포용, 평등, 소외된 개인과 집단에 대한 배려, 자연환경에 대한 책임 있는 지속 가능한 보호라는 세계관을 발전시켰다"며 애도했다.볼라 티누부 나이지리아 대통령도 "지칠 줄 모르는 가난한 사람들의 옹호자이자 기후변화에 맞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목소리를 낸 프란치스코 교황의 서거를 애도한다"고 밝혔다.마흐무드 알리 유수프 아프리카연합(AU) 집행위원장은 "교황은 아프리카 대륙에 용기 있게 관여해 평화와 화해를 옹호하고 분쟁과 빈곤의 영향을 받는 이들과 연대했다"며 경의를 표했다.이날 오전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2023년 초 5박 6일간 빈곤과 분쟁에 시달리는 콩고민주공화국과 남수단을 차례로 찾아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한 바 있다.hyunmin623@yna.co.kr▶제보는 카톡 okjebo 【베이비뉴스 이유주 기자】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