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해 두 나라
한국과 일본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해 두 나라 '성신교린(성실과 믿음으로 사귄)'의 상징이었던 조선통신사 행렬이 재현된다.문화체육관광부는 부산문화재단과 함께 서울 경희궁을 시작으로 부산과 일본 오사카, 요코하마 등을 거쳐 9월 말 도쿄에서 마무리되는 조선통신사 행렬을 재현한다고 22일 밝혔다.첫 번째 재현행사는 오는 24일 오후 3시 경희궁에서 열린다. 무용단 공연을 시작으로 삼사 임명식과 취타대, 풍물패 공연으로 조선통신사 행렬을 약식으로 재현한다. 뮤지컬배우 남경주 씨가 왕 역할을 하고, 신오쿠보역 의인 고 이수현 씨의 어머니가 정사 역할로 참여해 행사의 의미를 더한다.이어 4월25~27일에는 부산에서 거리공연, 드론쇼 등과 함께 조선통신사 행렬을 재현한다. 이후 부산에서 출항한 조선통신사선이 오사카까지 실제 이동한 경로(부산-쓰시마-시모노세키-쿠레-후쿠야마-세토우치-타츠노-오사카)를 따라 선상 박물관 전시와 공연이 이어진다. 5월13일 오사카 엑스포 한국의 날에는 인근 선착장에서 조선통신사선 입항 기념식과 공연이 펼쳐지고, 엑스포 공식 행진과 함께 조선통신사 행렬을 재현한다. 7월에는 부산국립국악원이 요코하마에서 통신사의 여정을 그리는 창작 무용극 '유마도'를 공연한다. 조선통신사 행렬은 9월 말 도쿄에서 마무리된다. 도쿄에서는 현지 어린이 참가자를 포함한 210여 명이 함께 대규모로 행렬을 재현하고 '한일문화 콘퍼런스', 문화예술행사 등이 열릴 예정이다. 주오사카한국문화원에서 열린 전통공예 전시 [사진 제공= 문화체육관광부]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 외에도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하는 다양한 행사가 연중 이어진다. 서울역사박물관은 4월25일부터 6월29일까지 조선시대 통신사 특별전 '마음의 사귐, 여운이 물결처럼'을 개최한다. 일본 에도도쿄박물관과 오사카 역사박물관, 국사편찬위원회의 특별협력으로 양국이 소장하고 있는 통신사 행렬도와 필담창화집 등 유물 128점이 전시된다. 한일 국제 학술대회와 영화상영회,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마련된다.앞서 지난 3월에는 주일한국문화원에서 한복, 한식, 한지 등 한국의 전통문화를 종합적으로 MMCA 전시 안내 앱_베리어프리 키오스크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기자 =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김성희)이 문화예술기관 최초로 ‘모바일 앱 접근성 인증(MA)’을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인증은 장애인과 고령자 등 정보 접근 약자가 모바일 콘텐츠를 장애 여부나 나이와 관계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수준을 평가해 부여되는 제도다.이번 인증은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와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이 부여하는 것으로, 국립현대미술관은 지난 4일, 전시안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접근성 수준이 기준을 충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앱은 인식의 편의성, 운용의 용이성, 이해의 용이성, 견고성 등 모바일 접근성 지침 2.0 기준의 18개 항목을 모두 통과했다. MMCA 전시 안내 앱_베리어프리 키오스크 *재판매 및 DB 금지 국립현대미술관은 장애인, 고령자 등 정보 취약 계층을 위한 디지털 포용 서비스 확대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지난해부터 디지털 기반 배리어프리 서비스를 본격 도입했고, 시각장애인을 위한 웹 접근성 개선에 이어 이번 모바일 앱 인증까지 획득하며 포용적 전시환경 조성을 위한 실천을 이어가고 있다.오는 5월에는 앱 내에 접근성 전용 페이지도 신설할 예정이다. ‘국립현대미술관’ 또는 ‘MMCA’로 검색하면 앱스토어 및 플레이스토어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며, 전시 안내, 예약, QR 관람권, 길찾기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김성희 관장은 “이번 인증은 국립현대미술관이 지향하는 디지털 포용과 정보 접근권 실현의 구체적 성과”라며 “앞으로도 기술 기반 무장애 서비스를 확대해 누구나 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혔다.공감언론 뉴시스 hyun@newsis.com
한국과 일본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해 두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