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조작 의혹' 검찰 고발

'주가조작 의혹' 검찰 고발

oreo 0 04.24 13:09
'주가조작 의혹' 검찰 고발 '주가조작 의혹' 검찰 고발 명단서 김 여사 제외"계좌 수백개 이상 분석... 자료 일체 이첩해""'제3자'인 검찰서 조사결과 적정성 판단 받겠다"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브리핑실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삼부토건 주가조작 사건을 검찰에 넘기면서 고발 대상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를 제외한 것과 관련 "제3자인 검찰로부터 금감원 판단의 적정성과 공정성 등을 검증받겠다"고 밝혔다. 김 여사와의 '개인적인 친분'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에 선을 그은 것이다. 이 원장은 24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 브리핑에서 "당국 조사단계에서는 특정인물(김 여사 및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의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과의) 연관성을 확인했지만 고발할만한 내용이 확인되지 않았다"라며 "특정인물 관련 자금추적 자료 등 일체를 검찰에 인계해 의혹이 철저히 규명될 수 있도록 수사에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전날 삼부토건 전·현직 실질사주 및 대표이사 등을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행위 금지 위반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금감원이 해당 의혹을 들여다본 지 7개월 만이다. 이들은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을 추진할 의사와 능력이 없는 상황에서 담보주식 반대매매 방지·보유 주식 고가매도 등을 위해 형식적인 업무제휴(MOU)를 반복적으로 맺은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오랜기간 조사에도 정치권에서 제기해온 이종호 전 대표와의 연관성을 규명하지 못해 비판의 화살은 이 원장을 향하고 있다. 이 전 대표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의 핵심 인물로, 김 여사의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 전 대표가 단체대화방에서 '삼부 내일 체크'라는 메시지를 올린 후 삼부토건 거래량과 주가가 급등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그 시기가 윤 전 대통령 부부가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젤렌스키 대통령 부부와 재건 사업을 논의했던 시기와 겹치면서 시세차익이 이 전 대표를 거쳐 김 여사에게까지 흘러갔을 가능성까'주가조작 의혹' 검찰 고발 명단서 김 여사 제외"계좌 수백개 이상 분석... 자료 일체 이첩해""'제3자'인 검찰서 조사결과 적정성 판단 받겠다"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브리핑실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삼부토건 주가조작 사건을 검찰에 넘기면서 고발 대상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를 제외한 것과 관련 "제3자인 검찰로부터 금감원 판단의 적정성과 공정성 등을 검증받겠다"고 밝혔다. 김 여사와의 '개인적인 친분'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에 선을 그은 것이다. 이 원장은 24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 브리핑에서 "당국 조사단계에서는 특정인물(김 여사 및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의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과의) 연관성을 확인했지만 고발할만한 내용이 확인되지 않았다"라며 "특정인물 관련 자금추적 자료 등 일체를 검찰에 인계해 의혹이 철저히 규명될 수 있도록 수사에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전날 삼부토건 전·현직 실질사주 및 대표이사 등을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행위 금지 위반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금감원이 해당 의혹을 들여다본 지 7개월 만이다. 이들은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을 추진할 의사와 능력이 없는 상황에서 담보주식 반대매매 방지·보유 주식 고가매도 등을 위해 형식적인 업무제휴(MOU)를 반복적으로 맺은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오랜기간 조사에도 정치권에서 제기해온 이종호 전 대표와의 연관성을 규명하지 못해 비판의 화살은 이 원장을 향하고 있다. 이 전 대표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의 핵심 인물로, 김 여사의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 전 대표가 단체대화방에서 '삼부 내일 체크'라는 메시지를 올린 후 삼부토건 거래량과 주가가 급등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그 시기가 윤 전 대통령 부부가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젤렌스키 대통령 부부와 재건 사업을 논의했던 시기와 겹치면서 시세차익이 이 전 대표를 거쳐 김 여사에게까지 흘러갔을 가능성까지 제기됐다. 그러나 금감원은 이 전 대표와 김 여사의 주가조작 연관성을 확인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 원장은 김 여사와의 친분이 금감원 조사 결과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이 원 '주가조작 의혹' 검찰 고발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