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외식업체 12.9%키오스크 등 무인주문기 도입배달앱 사용비중 31.7%…상승세 지속 배달비 부담도 커져 월평균 30만원 넘겨지난해 국내 식당과 카페 등 외식업장 10곳 중 1곳은 점원이 아닌 키오스크 등 무인기기를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주문을 받는 업장도 처음으로 30%를 넘겼다. 다만 이로 인한 비용 부담도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26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24년 외식업체 경영실태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외식업계의 무인 주문기 사용 비중은 12.9%로 전년(7.8%) 대비 12.3%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0.6% 수준이던 외식업체의 무인 주문기 도입 비중은 매년 지속적으로 확대되며 지난해 처음으로 10%를 넘겼다.업종별로는 일반 음식점(9.4%)보다 일반 음식점 이외 업종(16.6%)의 비중이 높았다. 커피 등 비알코올 음료업점의 도입 비중이 30.2%로 가장 높았고, 햄버거·샌드위치 및 유사 음식점업이 27.9%로 뒤를 이었다. 일반 음식점 가운데는 일식당이 18.3%로 높은 도입률을 보인 반면 한식당은 7.7%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체 업종 가운데는 주점업의 도입 비중이 2.9%로 가장 낮았다.외식업체에서 사용 중인 무인 주문기 유형은 지난해 기준 키오스크가 과반 이상을 차지했고, 고객 휴대폰, 태블릿PC 순으로 나타났다. 2023년과 비교해 키오스크(67.0%→54.8%) 비중은 감소한 반면 고객 휴대폰(28.3%→35.8%)과 태블릿PC(4.0%→9.2%)를 도입한 업장은 증가했다.배달앱 사용 비중도 처음으로 30%를 넘겼다. 외식업체의 배달앱 사용 비중은 2018년 7.6%에서 2020년 19.9%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이던 2021년 29.5%까지 큰 폭으로 확대됐다. 엔데믹으로 전환한 2022년에는 26.3%로 소폭 감소했지만 이후 다시 증가세를 보이며 지난해 전년 대비 3.0%포인트 증가한 31.7%까지 높아졌다.다만 배달앱 사용이 늘면서 배달앱 사용 비용 부담도 커지는 모습이다. 매년 상승하던 외식업체의 월평균 배달앱 사용 비용은 2021년 팬데믹 당시 상생 차원에서 배달 수수료를 인하하면서 일시적으로 하락했다. 하지만 이후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고, 지난해에는 30만3000원으로 전년 대비 22.7% 감소했지만 여전히 30만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박성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배달앱 비용의 증가로 외식업체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만큼 외식업체의 경영안정과 부담 완화를 위해 배달 지난해 외식업체 12.9%키오스크 등 무인주문기 도입배달앱 사용비중 31.7%…상승세 지속 배달비 부담도 커져 월평균 30만원 넘겨지난해 국내 식당과 카페 등 외식업장 10곳 중 1곳은 점원이 아닌 키오스크 등 무인기기를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주문을 받는 업장도 처음으로 30%를 넘겼다. 다만 이로 인한 비용 부담도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26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24년 외식업체 경영실태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외식업계의 무인 주문기 사용 비중은 12.9%로 전년(7.8%) 대비 12.3%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0.6% 수준이던 외식업체의 무인 주문기 도입 비중은 매년 지속적으로 확대되며 지난해 처음으로 10%를 넘겼다.업종별로는 일반 음식점(9.4%)보다 일반 음식점 이외 업종(16.6%)의 비중이 높았다. 커피 등 비알코올 음료업점의 도입 비중이 30.2%로 가장 높았고, 햄버거·샌드위치 및 유사 음식점업이 27.9%로 뒤를 이었다. 일반 음식점 가운데는 일식당이 18.3%로 높은 도입률을 보인 반면 한식당은 7.7%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체 업종 가운데는 주점업의 도입 비중이 2.9%로 가장 낮았다.외식업체에서 사용 중인 무인 주문기 유형은 지난해 기준 키오스크가 과반 이상을 차지했고, 고객 휴대폰, 태블릿PC 순으로 나타났다. 2023년과 비교해 키오스크(67.0%→54.8%) 비중은 감소한 반면 고객 휴대폰(28.3%→35.8%)과 태블릿PC(4.0%→9.2%)를 도입한 업장은 증가했다.배달앱 사용 비중도 처음으로 30%를 넘겼다. 외식업체의 배달앱 사용 비중은 2018년 7.6%에서 2020년 19.9%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이던 2021년 29.5%까지 큰 폭으로 확대됐다. 엔데믹으로 전환한 2022년에는 26.3%로 소폭 감소했지만 이후 다시 증가세를 보이며 지난해 전년 대비 3.0%포인트 증가한 31.7%까지 높아졌다.다만 배달앱 사용이 늘면서 배달앱 사용 비용 부담도 커지는 모습이다. 매년 상승하던 외식업체의 월평균 배달앱 사용 비용은 2021년 팬데믹 당시 상생 차원에서 배달 수수료를 인하하면서 일시적으로 하락했다. 하지만 이후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고, 지난해에는 30만3000원으로 전년 대비 22.7% 감소했지만 여전히 30만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박성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배달앱 비용의 증가로 외식업체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만큼 외식업체의 경영안정과 부담 완화를 위해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