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요약 수당(秀堂) 정명숙 선생 서거 1주기 추모공연 5월 2일 서로에게 묻는 '안부' 입춤, 교방무, 살풀이춤 세 가지 선보여 "향기가 남는 춤꾼으로 영원히 남고 싶다" '수당 정명숙 명무(名舞) 서거 1주기 추모공연'이 5월 2일 오후 7시30분 서울 강동아트센터 소극장 '드림'에서 개최된다. 수당 정명숙 추모공연 추진위원회 제공 춤으로 한 시대를 수놓은 수당(秀堂) 정명숙 선생 1주기를 추모하는 '수당 정명숙 명무(名舞) 서거 1주기 추모공연'이 5월 2일 저녁 7시 30분 서울 강동아트센터 소극장 '드림'에서 열린다. 이번 공연은 '수당 정명숙 추모공연 추진위원회(위원장 권경애)'가 맡았고, 공연 제목은 제자들의 스승에 대한 절절한 그리움을 담아 '안부'로 정했다.1935년 대구에서 태어난 수당 정명숙 선생은 김진걸 (1926~2007)전 한국무용협회 이사장등에게서 춤을 배웠다. 2019년 국가무형유산 '살풀이춤' 보유자로 인정받았다. 당시 84세의 나이로 최고령 보유자가 된 선생은 "춤이 좋아서 외길 인생을 간 지 70년이 됐다"며 "향기가 남는 춤꾼으로 영원히 남고 싶다"고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정재숙 문화재청장이 2019년 12월 23일 서울 삼성동 국가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민속극장 풍류)에서 살풀이춤 국가무형문화재로 새롭게 인정된 정명숙 보유자에게 인정서를 수여하고 있다. 문화재청 제공 수당 선생은 전통춤의 보존과 전승을 평생의 사명으로 여기며, 끊임없이 그 경계를 넓혔고, 다수의 제자들을 양성했다. 지난해 5월 2일 향년 89세를 일기로, 하늘 무대에 올랐다.이번 추모 공연에선 평소 수당 선생의 애작(愛作)인 입춤, 교방무, 살풀이춤 세 가지를 선보인다.입춤은 우리 전통춤의 기본을 바탕으로 구성된 즉흥적인 춤으로, 춤사위간의 연결이 부드러운 동작이 특징이다.교방무는 고려 문종때부터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관기제도에 따라 교방청에 의해 내려온 춤으로 우리 춤의 네 가지 요소인 '한(恨)·흥(興)·멋·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도쿄=연합뉴스) 조준형 박상현 특파원 = 한미 관세 협상의 가늠자가 될 것으로 평가받는 미일 간 첫 관세 협의에서 미일 양국이 되도록 조기에 합의, 정상이 결과를 발표하기로 합의했다.또 미일 양국이 다음 협의를 이달 중 실시하기 위해 일정을 조율하고, 장관급뿐 아니라 실무 레벨에서도 관세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일본 측 관세 담당 각료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과 50분간 면담했고, 이어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75분 동안 아카자와 경제재생상과 회담했다고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협상과 관련해 일본 측에 방위비 부담 확대를 언급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일본 측은 이번 협상에서 관세 인하와 철폐를 요청하고, 미국은 안전보장 관련 요구를 한 것으로 보인다.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애초 일본과의 관세 협상에 직접 참석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일본 언론 보도를 종합하면 아카자와 경제재생상과 면담만 하고 양측 관세 담당 장관 협상에는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미국은 이미 철강·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했고, 일본을 상대로 상호관세 24%를 발효하기로 한 상태다. 일본은 미국 관세 정책에 거듭 유감을 나타냈고 제외를 요청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이번 협상 직후 취재진과 만나 미국 관세 조치가 지극히 유감이라는 점을 표명하고 관세가 일본 산업·미일 양국 투자·고용 확대 등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 뒤 자동차와 철강 제품 등에 대한 관세 정책 재검토를 강하게 요구했다고 밝혔다.그는 미국이 상호관세 유예 기간인 90일 이내에 거래(관세 협상)를 마무리하려 한다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한 뒤 "우리는 되도록 조기에 하고 싶은 생각은 있지만, 교섭의 향후 진전은 아직 알 수 없다"며 신중한 태도를 나타냈다.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이번 협상에서 환율과 안보 문제는 의제로 다뤄졌는가'라는 질문에 "환율은 나오지 않았다. 환율은 양국 재무장관이 논의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안보 문제 협의 여부에 대해서는 확답하지 않았다.트럼프 대통령은 엔화 약세와 일본의 통화 정책, 미일 안보조약과 미국의 군사 부담 등에 대해 불만을 나타내 왔다.아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