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정부가 12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15일 발표했다. 당초 발표했던 10조 원보다 약 2조 원 더 늘어난 규모다.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추경 사업은 재해·재난 대응, 통상·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 민생 지원에 중점을 두겠다”며 이같이 밝혔다.정부는 우선 재해·재난 대응 분야에 3조 원 이상을 투자할 방침이다. 최 부총리는 “신속한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재해대책비를 기존 약 5000억 원에서 2배 이상 보강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산불·여름철 태풍 등 재해·재난에 즉시 대응하기 위해 첨단장비 도입, 재해 예비비 등에 2조 원 수준을 반영했다”며 “중·대형급 산림헬기 6대, AI 감시카메라(30대), 드론(45대), 다목적 산불 진화차(48대) 등을 추가로 도입해 산불 예방·대응 역량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말했다.통상환경 변화 대응 및 첨단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4조 원 이상을 투입한다. 최 부총리는 “관세 피해, 수출 위기 기업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저리대출, 수출보증 등 정책자금 25조 원을 신규로 공급하겠다”고 했다. 또 “AI, 반도체 등 첨단산업 관련 인프라·금융·연구개발(R&D) 등에도 2조 원 이상 재정지원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내수 회복지연으로 어려움이 큰 소상공인과 취약계층에도 4조 원 이상을 지원한다. 우선 소상공인이 공공요금과 보험료 납부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연간 50만 원 수준의 ‘부담경감 크레딧’을 신설한다.전년 대비 카드 소비 증가분의 일부를 온누리 상품권으로 환급하는 ‘상생페이백 사업’도 추진한다. 이는 연매출 30억 원 이하 사업자에게 사용한 금액을 대상으로 한다. 이와 함께 저소득층 청년·대학생, 최저신용자의 생활 안정을 위한 정책자금 공급도 2000억 원 수준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반도체 투자 33조로 확대…송전선 지중화 70% 지원 정부는 이날 반도체 경쟁력 선점을 위한 재정투자 강화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정부가 12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15일 발표했다. 당초 발표했던 10조 원보다 약 2조 원 더 늘어난 규모다.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추경 사업은 재해·재난 대응, 통상·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 민생 지원에 중점을 두겠다”며 이같이 밝혔다.정부는 우선 재해·재난 대응 분야에 3조 원 이상을 투자할 방침이다. 최 부총리는 “신속한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재해대책비를 기존 약 5000억 원에서 2배 이상 보강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산불·여름철 태풍 등 재해·재난에 즉시 대응하기 위해 첨단장비 도입, 재해 예비비 등에 2조 원 수준을 반영했다”며 “중·대형급 산림헬기 6대, AI 감시카메라(30대), 드론(45대), 다목적 산불 진화차(48대) 등을 추가로 도입해 산불 예방·대응 역량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말했다.통상환경 변화 대응 및 첨단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4조 원 이상을 투입한다. 최 부총리는 “관세 피해, 수출 위기 기업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저리대출, 수출보증 등 정책자금 25조 원을 신규로 공급하겠다”고 했다. 또 “AI, 반도체 등 첨단산업 관련 인프라·금융·연구개발(R&D) 등에도 2조 원 이상 재정지원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내수 회복지연으로 어려움이 큰 소상공인과 취약계층에도 4조 원 이상을 지원한다. 우선 소상공인이 공공요금과 보험료 납부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연간 50만 원 수준의 ‘부담경감 크레딧’을 신설한다.전년 대비 카드 소비 증가분의 일부를 온누리 상품권으로 환급하는 ‘상생페이백 사업’도 추진한다. 이는 연매출 30억 원 이하 사업자에게 사용한 금액을 대상으로 한다. 이와 함께 저소득층 청년·대학생, 최저신용자의 생활 안정을 위한 정책자금 공급도 2000억 원 수준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반도체 투자 33조로 확대…송전선 지중화 70% 지원 정부는 이날 반도체 경쟁력 선점을 위한 재정투자 강화 방안도 발표했다.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