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의 경제금융 관료 워싱턴

세계 각국의 경제금융 관료 워싱턴

oreo 0 19:25
세계 각국의 경제금융 관료 워싱턴 총집결"국익 지켜라" 특명에 정보전 치열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가 지난 17일 세계은행 IMF 연차회의를 앞두고 연설하고 있다. /AFP연합뉴스세계 각국의 경제금융 관료 수백명이 이번 주 미국 워싱턴DC에 속속 모이고 있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가 23일부터 이틀간 이곳에서 열린다. 세계은행(WB)·국제통화기금(IMF) 연차회의도 21일(현지시간) 개막해 오는 26일까지 진행된다. 일종의 ‘글로벌 경제금융 주간’이다. 워싱턴 내 호텔들은 각국 정부 및 민간 사절단으로 북적이고 있다. 매해 4월과 10월에 고정적으로 진행되는 행사지만, 올해 워싱턴의 분위기는 종전에 볼 수 없었던 긴장감이 뚜렷하다. 화두는 단연코 ‘트럼프 관세’다. 글로벌 무역시스템 뿐만 아니라 각국의 재정 및 통화정책까지 모두 이 문제에 연결돼 있어서다. 특히 한국과 일본은 이번 주 트럼프 정부와 협상을 진행하는 만큼 전 세계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 “국익 지켜라” 외교력 집중세계은행IMF 연차회의가 열리는 워싱턴DC의 건물 앞을 행인들이 지나가고 있다. /AFP연합뉴스이번 연차회의의 모든 미팅과 기자회견의 핵심 주제는 모두 동일하다. 관세와 미국발 글로벌 신(新) 질서 구축이다. 조시 립스키 애틀랜틱카운슬 지오이코노믹스센터 선임이사는 이번 연차회의가 “최근 역사에서 가장 극적이고 중요한 회의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에 전망했다. 스위스 취리히의 J사프라 사라신은행 소속 카르텐 유니우스는 “워싱턴으로 향하는 모든 이들은 현 세계질서가 살아남을지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각국 경제관료들은 전부 국익을 지키기 위해 누구와 무엇을 논의해야 할지를 두고 치열한 수싸움을 벌이는 중이다. 트럼프 정부가 혼란스러워 보이는 관세정책을 내세워 무엇을 얻으려 하는지, 무엇을 내주면 만족할지에 대해 작은 정보라도 파악하려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 중에서도 관세협상의 핵심 키를 쥐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스콧 베세계 각국의 경제금융 관료 워싱턴 총집결"국익 지켜라" 특명에 정보전 치열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가 지난 17일 세계은행 IMF 연차회의를 앞두고 연설하고 있다. /AFP연합뉴스세계 각국의 경제금융 관료 수백명이 이번 주 미국 워싱턴DC에 속속 모이고 있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가 23일부터 이틀간 이곳에서 열린다. 세계은행(WB)·국제통화기금(IMF) 연차회의도 21일(현지시간) 개막해 오는 26일까지 진행된다. 일종의 ‘글로벌 경제금융 주간’이다. 워싱턴 내 호텔들은 각국 정부 및 민간 사절단으로 북적이고 있다. 매해 4월과 10월에 고정적으로 진행되는 행사지만, 올해 워싱턴의 분위기는 종전에 볼 수 없었던 긴장감이 뚜렷하다. 화두는 단연코 ‘트럼프 관세’다. 글로벌 무역시스템 뿐만 아니라 각국의 재정 및 통화정책까지 모두 이 문제에 연결돼 있어서다. 특히 한국과 일본은 이번 주 트럼프 정부와 협상을 진행하는 만큼 전 세계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 “국익 지켜라” 외교력 집중세계은행IMF 연차회의가 열리는 워싱턴DC의 건물 앞을 행인들이 지나가고 있다. /AFP연합뉴스이번 연차회의의 모든 미팅과 기자회견의 핵심 주제는 모두 동일하다. 관세와 미국발 글로벌 신(新) 질서 구축이다. 조시 립스키 애틀랜틱카운슬 지오이코노믹스센터 선임이사는 이번 연차회의가 “최근 역사에서 가장 극적이고 중요한 회의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에 전망했다. 스위스 취리히의 J사프라 사라신은행 소속 카르텐 유니우스는 “워싱턴으로 향하는 모든 이들은 현 세계질서가 살아남을지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각국 경제관료들은 전부 국익을 지키기 위해 누구와 무엇을 논의해야 할지를 두고 치열한 수싸움을 벌이는 중이다. 트럼프 정부가 혼란스러워 보이는 관세정책을 내세워 무엇을 얻으려 하는지, 무엇을 내주면 만족할지에 대해 작은 정보라도 파악하려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 중에서도 관세협상의 핵심 키를 쥐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의 일거수 일투족이 최대 관심사다. 이들이 가장 주목하는 순간은 한국과 미국의 첫 관세 협상이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베선트 장관 및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24일 오전 8시(한국시간 오후 9시)에 2+2 형태의 협상을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