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저녁 성
24일 저녁 성 베드로 대성전 내 교황의 관 주변 모습. 조문객들은 성당 내부를 자유롭게 찍도록 허락됐지만, 프란치스코 교황의 시신이 직접 나오는 사진은 찍지 못하도록 안내 받고 있다. /바티칸=정철환 특파원 ‘육신의 덧없음을 아세요. 욕심에 빠져 싸우고, 뺏고, 상처 주지 마세요. 사랑과 평화를 나눕시다.’24일 저녁, 화려한 장식 없는 목관에 누워 말없이 천장을 향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모습은 마치 그렇게 이야기하는 듯했다. 선종한 날(21일)로부터 나흘째. 교황의 관에서 약 4m 앞에 설치된 울타리를 붙잡고 바라본 교황의 얼굴색은 창백하다 못해 푸르게 보였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선대 교황들처럼 자신의 시신이 방부 처리되는 것을 원치 않았다. 다만 시신이 빨리 부패하는 것을 막으려 주사를 이용한 ‘엠바밍(embalming)’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평화로우면서도 죽음의 의미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교황의 모습에 조문객 모두가 숙연해졌다. 성 베드로 대성전 내부의 화려한 모습에 감탄하며 연신 사진을 찍던 이들도 교황의 시신 앞에선 스마트폰과 사진기를 내려놓았다. 조문객들에게 주어진 시간은 불과 몇 초. 그 짧은 시간 동안 저마다의 방식으로 교황을 추모했다. 어떤 이들은 성호를 그으며 무릎을 굽혀 경의를 표했고, 어떤 이들은 ‘프란치스코’라며 나직하게 교황의 이름을 불렀다. 신자가 아닌 이들은 엄숙한 분위기에 압도된 듯한 표정을 짓기도 했다. 24일 저녁 성 베드로 대성전 안의 모습. 프란치스코 교황을 조문하기 위해 몰려든 사람들이 줄을 서 있다. 높이 약 30m의 거대한 발다키노(天蓋) 앞에 교황의 관이 놓여 있다. /바티칸=정철환 특파원 교황의 관 주변에는 평소 그와 가까웠던 이들과 여러 성직자 및 수도자들이 모여 교황을 위한 연도(죽은 이를 위한 기도)를 하고 있었다. 기도문을 외우다 눈물을 훔치는 이들, 교황의 선종이 믿기지 않는 듯 관 옆에서 하염없이 그를 바라보고 있는 수녀들도 있었다. 쉽게 발길을 뗄 수 없었던 조문객들 일부는 교황의 시신 뒤편에 있는 ‘고백의 제단’과 이를 덮고 있는 발다키노(天蓋) 뒤쪽으로 울타리를 돌아가 쉬지 않고 계속 이어지는 추모 의식을 지켜 25일 서울 강남구 최인아책방에서 열린 '지구의 날' 기념 기후변화주간 북콘스트 ⓒ 뉴스1 황덕현 기자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이정모 전 국립과천과학관장(현 펭귄각종과학관 관장)이 25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시민이 정치권을 압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 관장은 '지구의 날'을 맞이해 서울 강남구 최인아책방에서 열린 기후변화주간 출판기념회에서 줄리언 퀸타르트 유럽연합 기후행동 친선대사와 대담 중 이같이 말했다. 이 행사는 환경부가 주관했다.오는 6월 3일 치러지는 제22대 대통령 선거가 40일가량 앞둔 상황에서, 여야가 '기후 유권자' 표심을 의식하는 가운데 나온 발언이라 주목된다.이 관장은 "우리는 기후위기를 일으킨 존재이지만, 해결할 능력도 있다"며 "기술만으로는 부족하다. 세금을 집행하려면 법이 필요하고, 법은 국회가 만든다. 결국 정치가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시민이 기후를 기준으로 투표하고 정치권에 책임을 묻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그는 특히 "기후위기 대응은 정의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같은 기후 조건에서도 피해는 사회적 약자에게 집중된다"며 "국가 간, 계층 간 불평등이 기후위기를 통해 심화할 수 있고, 이는 안보와 평화의 위기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이러한 발언은 대선을 앞두고 각 정당이 내놓은 기후 관련 공약과도 맞물린다. 주요 정당은 저마다의 기후위기 대응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현재 대선에 출마한 후보들 역시 기후위기 대응을 핵심 의제로 내세우고 있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2040년까지 석탄화력 발전소를 전면 폐쇄하고,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과 함께 2035년 이후의 감축 로드맵을 새로 수립하겠다고 밝혔다.전국 재생에너지 자원을 연결하는 '에너지 고속도로'를 구축하고, RE100 산업단지를 100개 이상 조성한다는 구상도 포함돼 있다.국민의힘은 대중교통 이용 확대와 무탄소 에너지 기술 개발을 핵심 전략으로 삼았다. 전국 단위 대중교통을 월 6만 원에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K-원패스' 제도 도입과 소형모듈원자로(SMR) 상용화 추진, 신재생에너지 간 연계를 위한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등이 대표적이다. 기후·에
24일 저녁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