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흥식 라자로 추기경이 24일(현지

유흥식 라자로 추기경이 24일(현지

oreo 0 04.25 23:44
유흥식 라자로 추기경이 24일(현지시간) 교황청 성직자부 청사에서 한국 취재진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서울경제] 유흥식(74) 라자로 추기경이 24일(현지시간) 차기 교황 유력 후보설을 듣고 “‘하하하’ 웃고 끝냈다”며 그 누구도 차기 교황을 예측할 수 없다고 단언했다.유 추기경은 이날 교황청 성직자부 청사에서 한국 언론사 7곳과 간담회를 진행, “다음 교황이 누가 될지는 그 누구도 알 수 없다”고 전제했다.그는 차기 교황 후보로 거론되는 데 대해 “’하하하 웃으며 끝냈다”며 최근 외신이 ‘차기 교황이 아시아에서 나올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주님께는 동서양의 구분이 없다’고 답한 것과 관련해선 “부모님은 아들·딸을 구별하지 않고, 잘하고 못하고를 구별하지 않고 특징대로 본다는 뜻에서 말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유 추기경은 이어 “교황으로 언급되는 것은 영광이다. 다만 예상은 틀림없이 틀린다”며 미소 지었다.그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후임자를 뽑는 콘클라베(Conclave·교황 선출을 위한 추기경단 비밀회의)의 투표 구조상 누구도 차기 교황을 예측할 수 없다고 단언했다.콘클라베에는 출마 선언이나 공식 후보 등록이 없기 때문에 유력 후보를 점치는 것 자체가 콘클라베의 투표 구조와는 맞지 않다는 게 유 추기경의 설명이다.그는 “콘클라베에는 후보자가 없다. 모든 추기경은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인물의 이름을 적어 투표한다”며 “이런 방식으로 3분의 2 이상의 득표자가 나올 때까지 계속 투표한다. 결국은 표가 모이는 방향을 통해 차기 교황이 결정되겠지만 그전에는 누구도 맞힐 수 없고, 맞힌 적도 없다”고 말했다.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후 후임 교황에 관심이 쏠린 가운데 유 추기경은 이탈리아 최대 일간지 코리에레델라세라가 꼽은 차기 교황 유력 후보 12명에 이름을 올려 관심을 끌었다.유 추기경은 차기 교황이 누가 되는 가장 필요한 자질로 ‘경청하는 자세’를 꼽았다. 그는 “지금은 참으로 어려운 시대다. 모두가 자기 목소리만 내고 남의 이야기를 들으려 하지 않는다”며 “그래서 차기 교황은 타인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줄 아는 지도자여야 한다. 프란치스코 교황도 잘 듣는 게 중요하다고 늘 강조유흥식 라자로 추기경이 24일(현지시간) 교황청 성직자부 청사에서 한국 취재진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서울경제] 유흥식(74) 라자로 추기경이 24일(현지시간) 차기 교황 유력 후보설을 듣고 “‘하하하’ 웃고 끝냈다”며 그 누구도 차기 교황을 예측할 수 없다고 단언했다.유 추기경은 이날 교황청 성직자부 청사에서 한국 언론사 7곳과 간담회를 진행, “다음 교황이 누가 될지는 그 누구도 알 수 없다”고 전제했다.그는 차기 교황 후보로 거론되는 데 대해 “’하하하 웃으며 끝냈다”며 최근 외신이 ‘차기 교황이 아시아에서 나올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주님께는 동서양의 구분이 없다’고 답한 것과 관련해선 “부모님은 아들·딸을 구별하지 않고, 잘하고 못하고를 구별하지 않고 특징대로 본다는 뜻에서 말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유 추기경은 이어 “교황으로 언급되는 것은 영광이다. 다만 예상은 틀림없이 틀린다”며 미소 지었다.그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후임자를 뽑는 콘클라베(Conclave·교황 선출을 위한 추기경단 비밀회의)의 투표 구조상 누구도 차기 교황을 예측할 수 없다고 단언했다.콘클라베에는 출마 선언이나 공식 후보 등록이 없기 때문에 유력 후보를 점치는 것 자체가 콘클라베의 투표 구조와는 맞지 않다는 게 유 추기경의 설명이다.그는 “콘클라베에는 후보자가 없다. 모든 추기경은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인물의 이름을 적어 투표한다”며 “이런 방식으로 3분의 2 이상의 득표자가 나올 때까지 계속 투표한다. 결국은 표가 모이는 방향을 통해 차기 교황이 결정되겠지만 그전에는 누구도 맞힐 수 없고, 맞힌 적도 없다”고 말했다.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후 후임 교황에 관심이 쏠린 가운데 유 추기경은 이탈리아 최대 일간지 코리에레델라세라가 꼽은 차기 교황 유력 후보 12명에 이름을 올려 관심을 끌었다.유 추기경은 차기 교황이 누가 되는 가장 필요한 자질로 ‘경청하는 자세’를 꼽았다. 그는 “지금은 참으로 어려운 시대다. 모두가 자기 목소리만 내고 남의 이야기를 들으려 하지 않는다”며 “그래서 차기 교황은 타인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줄 아는 지도자여야 한다. 프란치스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