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이에게 마음을 연 민중의 교황" 추모 26일 바티칸 장례미사에 약 25만 명 운집 美트럼프 대통령 포함 130개국 대표단 참석 '소외된 자'의 교황…난민·성소수자 등도 함께해 장례미사. 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 미사가 26일 오전 10시(한국시간 오후 5시)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엄수됐다. 선종 닷새 만에 열린 이날 미사는 십자가 문양이 새겨진 목관을 성 베드로 성전에서 야외 제단으로 운구하며 시작됐다. 이어 입당송(入堂頌) '주여, 영원한 안식을 내리소서'와 기도, 성경 강독, 성찬 전례, 관에 성수를 뿌리고 분향하는 고별 의식 순으로 약 2시간에 걸쳐 진행됐다.미사 주례를 맡은 조반니 바티스타 레 추기경단장은 강론에서 "교황은 최근 몇 년 간 잔혹한 전쟁과 비인간적 공포, 수많은 죽음과 파괴에 대해 쉼 없이 평화를 간청하고 이성적이고 진실된 협상으로 해결책을 찾도록 촉구했다"고 밝혔다.프란치스코 교황이 생전에 멕시코와 미국 접경지역에서 미사를 집전하고 그리스 레스보스섬에서 난민 12명을 바티칸으로 데려왔던 일화도 소환했다. 그는 "모두에게 가까이 다가가고자 했고, 소외되고 작은 이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다"며 "모든 이에게 마음을 연 민중의 교황이었다"고 추모했다. 연합뉴스 특히 레 추기경의 강론에서는 "벽이 아닌 다리를 세우라"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생전 발언도 인용됐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선 후보였던 지난 2016년, 교황이 그의 주요 공약 중 하나인 '멕시코 국경 장벽 건설'을 비판하는 맥락에서 나온 말이다.당시 프란치스코 교황은 "다리를 만들지 않고 벽만 세우려 하는 사람은 기독교인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장례미사 직후 교황의 관을 실은 운구차는 로마 시내를 가로질러 장지인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성모 대성전)을 향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전임 교황 대부분이 묻힌 성 베드로 대성전 지하묘지 대신 즐겨 찾던 로마 테르미니 기차역 인근의 이곳을 장지로 택했다.교황이 바티칸 외부에 묻힌 것은 1903년 로마 라테라노 대성전에 안치된 레오 13세 이후 122년 만이다.관 속에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이 18일(현지시각)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과의 회담 후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다. 모스크바/로이터 연합뉴스 압박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이 영국과 프랑스, 독일 유럽 3개국(E3)에 미국과 진행 중인 핵 협상에 대해 협의를 제안했다.아락치 외무장관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와 텔레그램을 통해 “다시 한 번 외교를 제안한다. 프랑스 파리, 독일 베를린, 영국 런던을 방문해 첫발을 내디딜 준비가 됐다. 미국과의 간접 대화가 시작되기 전부터 그렇게 할 준비가 되어있었지만 유럽 3국이 원하지 않았다”라며 “이제 공은 유럽으로 넘어갔다”고 말했다. 아락치 장관은 “이란과 유럽 3국(E3) 관계가 최근 몇 년간 부침을 거듭해왔다. 현재 이 관계는 악화되고 있다”며 “비난은 무의미하다. 중요한 것은 현재 상황이 양측 모두에게 손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아락치 장관은 “지난 9월 미국 뉴욕에서 다른 유럽 국가들과 만났을 때 대화를 제안했다. 핵 문제뿐 아니라 공동의 이해관계와 관심사가 있는 모든 분야에서 대립보다는 협력을 선택하자고 했다. 하지만 그들이 힘든 길을 택했다”고 덧붙였다.아락치 장관은 지난주 러시아를 찾아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과 회담한 데 이어 전날 중국에서 왕이 중국공산당 외교부장을 만나 미국과의 간접 핵협상에 대해 협의했다.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 소셜미디어 갈무리 미국과 이란은 지난 12일 오만 무스카트에서 1차 핵협상이 열렸고 19일 로마에서 2차 회담을 했다. 미국과 이란은 모두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한 가운데 26일 오만 무스카트에서 전문가 기술회의와 후속 고위급 회담을 열 예정이다.2015년 체결된 이란 핵합의(포괄적공동행동계획·JCPOA)의 당사국은 이란뿐 아니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인 미국, 중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5개국에 독일이 합류한 6개국이었다.한편 미국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제안한 ‘저농축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