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상승거래 '주춤'…강남·용산은 달랐다

서울 아파트 상승거래 '주춤'…강남·용산은 달랐다

dodo 0 04.27 15:52
올해 꾸준히 증가하던 서울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이 4월 들어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으로 묶인 강남권과 용산구는 오히려 상승 거래가 늘어나 '똘똘한 한 채' 수요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4월 서울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5.3%를 기록했다.
이는 전월보다 4.1%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월간 기준으로 직전 거래가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된 '상승 거래' 비중이 줄어든 것은 올해 들어 처음이다.

서울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지난해 11월 46.1%에서 같은 해 12월 40.9%로 감소했다가 올 1월 44.3%, 2월 48.2%, 3월 49.4% 등으로 매월 꾸준히 늘어났다.

상승 거래 비중이 줄면서 하락 거래 비중(36.3%)은 전월 대비 3.7%포인트 증가했다. 보합 거래 비중도 지난 3월 17.9%에서 이달 18.4%로 늘었다.

토허구역 확대 지정과 같은 규제 정책과 함께 집값 단기 급등에 따른 피로감으로 가격 오름세가 둔화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전체적인 상승 거래 감소에도 토허구역으로 묶인 강남권과 용산구에선 오히려 상승 거래 비중이 확대됐다.

강남구는 이달 상승 거래 비중이 80%로, 전월(60%)보다 급증하며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지속했다.천안역 이편한세상 송파구도 상승 거래 비중이 전월보다 4%포인트 증가한 53%로 나타났으며, 용산구도 3월 58%에서 이달 67%로 늘어났다.

토허구역 대상 지역에선 상승 거래가 오히려 늘어난 것이다.원성동 이편한세상 서초구는 이달 현재 매매가 한건도 없는 상태다.

실제로 지난 13일 잠실 우성아파트 전용면적 131㎡가 직전 거래(3월31일, 20억8천만원)보다 51% 오른 31억5천만원에 거래됐으며, 압구정 한양1차 78㎡는 지난 12일 직전(3월29일, 47억5천만원)보다 26% 오른 60억원에 실거래 신고됐다.

대치동 쌍용대치2단지 84㎡도 지난 1일 직전(1월9일, 29억4천만원)보다 6% 오른 31억2천만원에 매매됐다.

종전 가격보다 비싼 가격에 거래된 단지를 보면 재지정 이전부터 토허구역에 속해 한달여만의 확대 재지정 영향이 크지 않은 경우가 많다고 직방은 설명했다.

그러나 토허구역 재지정으로 풍선 효과가 우려됐던 양천구(55→53%), 광진구(54→24%), 동작구(54→50%), 성동구(50→46%), 마포구(49→44%), 중구(47→29%), 서대문구(43→38%) 등은 상승 거래 비중이 줄었다.

현재의 상승 거래 비중 감소세가 지속될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 분석이다.

이편한세상 천안역
직방 빅데이랩의 김은선 랩장은 "관망세라고 하나 이 또한 결국 대기 수요이고,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과 공급 부족 리스크 등이 있기 때문에 시장 흐름에 따라 언제든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