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었을 적 ‘인사동 신선’

젊었을 적 ‘인사동 신선’

oreo 0 04:40
젊었을 적 ‘인사동 신선’이라 불리며 고미술 시장을 섭렵한 김세종 평창아트 대표(아래 사진)는 뒤늦게 민화에 빠져 수집해 왔다. 그는 “민화를 순수 미술로 바라볼 때 훨씬 흥미롭고 환상적인 세계가 보인다”고 말했다. 사진은 책거리의 일부 모습. [사진 평창아트] 조선 민화 수집과 전시, 그리고 민화 관련 책 출간···. 어느 대학 교수의 이력이 아니다. 국내 대표 민화 컬렉터 김세종(69) 평창아트 대표가 해온 일이다. 30대 초반에 우연히 민화를 처음 보고 잠을 못 이뤘지만, 그때만 해도 그는 자신의 삶이 여기까지 올 줄 몰랐다. 2018년 서울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과 세종문화회관,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대규모 컬렉션 전시를 연 그가 최근 4권으로 구성된 대형 컬렉션 화집 『판타지아 조선민화』(아트북스·사진)를 펴냈다. 『컬렉션의 맛』, 『나는 조선민화 천재화가를 찾았다』에 이은 세 번째 출간이다. 『판타지아 조선민화』는 자신의 컬렉션을 집대성한 도록이다. 그는 1000여점에 달하는 자신의 민화 소장품 중 일부를 주제에 따라 화조도, 산수도, 책거리·문자도, 호랑이·무신도 등 4권으로 나누고, 다양한 각도로 들여다 볼 수 있게 편집했다. 오는 6월엔 새 책 『나는 조선민화에서 순수미술을 보았다』도 나온다. 컬렉터의 활동으론 국내에서 선례를 찾기 어려운 ‘광폭 행보’다. 김세종 평창아트 대표 “지금도 민화를 들여다보면 기발한 발상과 표현에 감탄하며 온몸에 소름이 돋는다”는 그는 “세상에 널리 알려야 할 한류의 정수가 이 안에 담겨 있다”고 말했다. 25일 그를 서울 평창동에서 만났다. Q : 컬렉션 도록을 4권으로 냈다. A : “백 마디 말이 무슨 소용 있겠나. ‘자, 봐라!’ 외치는 마음으로 그동안 내가 혼자 보고 감탄한 작품을 족집게로 집어내 보여주고 싶었다. 영문 글도 함께 실었는데, 이 도록을 적어도 세계 100곳의 유수 미술관에 보내는 게 내 바람이고 목표다.” Q : 민화의 어떤 점을 드러내고 싶었나. A : “재기발랄한 창의성이다. 익명의 화가들이 그렸 [대만 TSMC (사진=연합뉴스)] 대만 당국이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수탁생산) 기업 TSMC의 미국 투자에 새로운 안보 규정을 적용할 예정이라고 연합보 등 대만언론이 28일 보도했습니다. TSMC의 미국 공장에 '한 단계 뒤처진 기술'을 적용하도록 하다는 것입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대만 경제부는 최근 대만 입법원(국회)을 통과한 대만의 핵심기술 보호와 산업경쟁력 유지를 위한 '산업혁신조례'의 하위 규정을 수정할 예정이라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해당 소식통은 개정된 산업혁신조례에 따라 하위 규정에 향후 미래의 투자가 '일정 금액' 이상 외에 특정 국가나 지역, 특정 산업 혹은 기술의 투자 등 항목을 추가해 이 가운데 하나라도 포함할 경우 사전에 신청을 강제하도록 개정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최근 입법원을 통과한 '산업혁신조례'에 따르면 '국가 안보에 영향을 끼칠 경우' 혹은 '국가 경제 발전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경우'에는 해외 투자를 허가하지 않을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그러므로 당국이 해당 조항을 빌어 TSMC가 첨단 공정(N)은 대만에서, 한 세대 낮은 공정(N-1)은 외국에 세운 공장에서 운영하는 'N-1' 규정을 TSMC의 미국 투자에도 적용을 요구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또 경제부가 일정 금액을 15억 대만달러(약 662억원)에서 30억 대만달러(약 1천325억원)로 상향 조정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