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무가 존 노이마이어가 29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카멜리아 레이디 공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제공=국립발레단 [서울경제] “작품을 무대에 올릴 때 단순히 재연하거나 반복한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입니다. 항상 새로운 발견과 디테일을 찾아 무용수들에게 전달하기에 나의 공연은 언제나 살아 숨 쉬고 매번 재창조되죠. 그렇지 않은 작품은 ‘움직이는 박물관’일 뿐입니다.”현대 발레계의 거장 안무가 존 노이마이어(86)가 드라마 발레의 걸작으로 꼽히는 자신의 대표작 ‘카멜리아 레이디’로 다시 한국을 찾았다. 지난해 ‘인어공주’로 국립발레단과 첫 협업을 한 지 1년 여 만이다.고급 창부(코르티잔)인 마르그리트와 귀족 청년 아르망의 애절한 사랑을 그린 프랑스 작가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의 소설 ‘춘희’를 원작으로 하는 작품은 1978년 독일 슈투트가르트발레단 초연과 동시에 걸작의 반열에 올랐다. 하지만 오랜 기간 유럽·미국의 일류 발레단에만 공연이 허락돼 한국 관객들은 무대를 만날 기회가 많지 않았다. 국립발레단이 다음 달 7~11일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아시아 발레단 최초로 ‘카멜리아 레이디’의 전막 공연에 나서면서 한국 발레계에 의미 있는 이정표를 세우게 됐다. 안무가 존 노이마이어가 기자의 질문을 듣고 있다. 사진 제공=국립발레단 29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노이마이어는 “내 인생 최고의 ‘카멜리아 레이디’를 보여주기 위해 왔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립발레단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무용수들의 실력을 우선 거론했다. 노이마이어는 “지난해 ‘인어공주’를 함께하면서 무용수 개개인에게 기술과 감정에 대한 코칭을 했는데 굉장히 높은 이해력으로 성공적인 무대를 만들어냈다”며 “우리가 함께한다면 더 드라마틱하고 연극적인 발레를 만들어갈 수 있겠다는 생각이 ‘카멜리아 레이디’ 공연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음악과 안무, 무대 장식 등 모두가 하나의 서사를 향해 달려가야 하는 드라마 발레는 무용수들의 기술적 움직임은 물론 연기력도 필요하기에 결코 쉽지 않다. 노이마이어는 “이 작품은 남녀 주인공이 추는 세 차례의 파드되(2인무)가 중요하지만 그렇다고 주인공 두 명에만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10명의 캐릭 게티이미지뱅크 북한이 중국에 파견한 정보기술(IT) 인력이 중국 군사기술을 탈취한 사실이 중국 당국에 최근 적발된 것으로 전해졌다. 29일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노동당 군수공업부 산하 조직이 중국 선양(瀋陽)으로 파견한 IT 기술자 A가 지난달 노트북 PC를 소지한 채 현지 숙소를 이탈해 잠적했다가 중국 공안에 체포·구금됐다. 중국 공안의 수사 과정에서 A의 노트북에서 중국 무기 등 군수 기술을 해킹한 정보가 쏟아졌다고 한다. 공안의 추궁에 A는 중국 군사기술 정보 탈취행위를 모두 자백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북 소식통은 “A가 검거된 사실을 인지한 북한은 같은 장소에서 활동한 IT 인력 전원을 긴급하게 북한으로 복귀시킨 것으로 안다”며 “북한이 중국을 상대로 한 정보수집 활동이 노출될 것을 우려했을 것”이라고 국내 매체에 전했다. A는 현재까지 구금 상태라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A를 중국에 파견한 군수공업부는 노동당의 군수공업 정책을 집행하는 기관으로, 핵·미사일 개발 프로그램 등 주요 국방사업 전반을 담당한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대상이다. 북한 정찰총국 및 국방성과 마찬가지로 온라인에서 외화벌이나 방산 기술을 탈취하는 IT 인력 조직을 운영하는 것으로 한미 당국의 수사에서 여러 차례 확인됐다. 한국 외교부가 작년 말 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313총국’도 군수공업부 산하 기관이다. 군수공업부나 정찰총국이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 해외 곳곳에 파견한 IT 인력들은 여러 명이 합숙하며 가상공간에서 위장 신분으로 활동하는 것으로 잘 알려졌다. A의 PC에서 발견된 중국의 군사기술 정보가 구체적으로 어떤 종류인지는 파악되지 않았지만 북한이 최근 집중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무인기 관련 정보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북한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경험을 활용해 소형 무인기 개발과 무인기 운영체계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대북 소식통은 “재중 북한 IT 기술자들의 동향을 잘 아는 탈북 인사들에 따르면 군수공업부가 최근 사이버 활동을 강화하며 외화벌이뿐만 아니라 무기 개발에 필요한 정보 수집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며 “공안에 붙잡힌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