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시장에서 횡보장이 이어지면서 국내 코인 거래소들의 거래대금이 급감했다. 특히 글로벌 거래소와 비교해 큰 폭으로 줄어든 점은 국내 투자자의 이탈이 더 빨랐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29일 코인게코에 따르면 지난 28일 기준 국내 5대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의 거래대금은 올해 들어 약 41.12% 줄어들었다.지난해 말 5대 거래소의 거래대금은 67억6686만달러에 달했다. 이는 지난 28일 39억8397만달러까지 줄어들었다.반면 글로벌 1위 거래소인 바이낸스의 경우 같은 기간 거래대금이 17.79% 줄어드는 데 그쳤다. 바이낸스와 비교하면 국내 거래소들의 거래대금 하락폭은 2배가 넘는다.한국과 해외에서의 비트코인 가격 차이를 보여주는 김치프리미엄(업비트·바이낸스 기준)도 최근 마이너스를 기록했다.지난 28일 김치프리미엄은 한때 -0.53%까지 하락했다. 29일 오전 9시 기준 0.22%까지 다시 상승했지만 지난해 말 기록했던 1.12%와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지난 2월 김치프리미엄은 10% 수준으로 급등하기도 했다.일반적으로 국내 투자자들의 수요가 해외보다 클 경우 김치프리미엄도 함께 상승한다.국내에서 가상자산에 대한 관심도가 크게 떨어진 이유로는 올해 알트코인이 유독 힘을 못 쓰고 있다는 점이 꼽힌다. 트레이딩뷰에 따르면 전체 가상자산 시가총액 중 비트코인의 비중을 보여주는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64.30%(29일 기준)로 연초 대비 약 10.72% 상승했다. 높은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비트코인에 비해 알트코인의 시세가 눌려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국내 투자자들은 비트코인보다는 알트코인을 더 높은 비중으로 매수하고 있다.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이 실시한 지난해 상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에서 비트코인의 시가총액 비중은 54.4%였지만 국내 시장 비중은 37.2%로 더 낮았다.단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관심을 다시 높일 수 있는 기대 요소는 여전히 남아 있는 상황이다. 최윤영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명확한 제도 정비가 있어야 법인과 기관 참여가 본격화될 수3월22일 산불 현장으로 향하는 길, 경북 의성에 도착하기 20km 전부터 거대한 산불 연기가 보였다. 구름인가 싶을 정도로 넓게 펼쳐진 연기는 이미 의성을 집어삼키고 있었다. 의성 초입에 이르자마자 마을 쪽으로 타고 내려오는 산불을 마주칠 수 있었다. 오후 5시께, 조금 늦은 시간 마주한 산불은 하루 만에 끝나지 않을 거라는 예감이 들게 했다. 경북 의성군 대형 산불 발생 사흘째인 3월24일 의성군 옥산면 전흥리에서 강풍을 타고 번진 산불이 민가를 덮치고 있다. /윤관식 제공 이튿날에는 산불 발화지점으로 향했다. 발화지점은 모두 잿더미가 됐지만, 여전히 산불은 인근에서 타오르고 있었다. 임도를 따라 무작정 연기가 보이는 곳으로 향했다. 산 능선에 자리한 송신탑 근처에 다다르자 헬기가 머리 위로 물 덩어리를 쏟아냈다. 임도를 집어삼킨 산불 앞에서 헬기 몇 대를 더 지켜봤지만, 불길은 잡히지 않았다. 취재를 계속하다간 철수할 수 있는 임도마저 불길에 휩싸일 수 있겠다는 판단에 바로 철수하고, 산 하나를 돌아 능선 너머에 있는 사찰로 향했다. 운람사 사찰 진입로에서는 잔불 정리 작업이 한창이었다. 불길이 한 번 휩쓸고 간 길은 곳곳에서 연기를 피워 오르며 열기를 내뿜고 있었다. 잔불 정리를 하는 산불 진화 요원에게 앞길 상황을 파악한 후 진입할 수 있겠다는 판단에 다시 취재차에 올랐다. 그렇게 도착한 운람사는 이미 산불에 잿더미가 된 모습이었다. 산 능선에 위치하고 산불이 이미 지나간 상황에, 일몰 시각이 다가오자 이곳에서 산불 규모를 살피기로 했다. 헬기가 철수하자 드론을 띄웠다. 어둠이 몰려오는 시간, 화선이 모습을 드러냈다. 이날 저녁부터 바람은 심상찮게 불었다. 산불 연기는 뭉치지 않고, 바람 방향을 따라 산림을 훑었다. 조금 전 산불 헬기를 취재했던 송신탑 쪽은 이미 화선이 닿아 있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산불은 거대한 띠를 이루며 마을을 향하고 있었다. 불은 산림뿐만 아니라 인명도 앗아갈 기세였다. 3월26일 경북 영양군 영양군민회관 대피소에서 산불로 인해 대피한 주민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윤관식 제공 사흘 차부터는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화선을 따라 이동하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