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목원 연구원
국립수목원 연구원이 장수하늘소 애벌레를 손에 들고 있다. 천권필 기자 지난달 28일 경기 포천시 국립수목원의 산림곤충스마트사육동에 들어서자 투명한 플라스틱 통이 방을 가득 채우고 있었다. 연구진이 사육 중인 장수하늘소 집이다. 통 속을 살펴보니 하얀 가루 속에서 한눈에 봐도 거대한 애벌레가 꿈틀대고 있었다. " 장수하늘소 애벌레는 통 속에 있는 느타리계 균류를 먹으면서 자라는데요. 큰 애벌레는 80g까지 무게가 나가는 데 들면 야구공처럼 묵직하죠. " 김창준 국립수목원 연구사가 통을 가리키면서 설명했다. 그가 손바닥 위에 올려놓은 애벌레를 보니 마치 외계 생명체를 보는 것처럼 거대한 크기에 압도됐다. 김 연구사는 “현재 사육동에는 애벌레와 번데기, 성충을 다 합쳐서 500여 개의 개체가 있다”고 말했다. ━ 12년째 광릉숲에서 장수하늘소 복원 장수하늘소를 복원 중인 국립수목원 산림곤충스마트사육동. 국립수목원 제공 국립수목원은 광릉숲에서 올해로 12년째 장수하늘소를 복원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광릉숲이 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장수하늘소가 서식하고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광릉숲은 550여 년 이상 자연 그대로 보전된 국내 최대 산림 보고로 장수하늘소를 포함해 3932종의 곤충이 서식하고 있다. 과거에는 서울 북한산 일대와 강원 춘천 등 중부지방 곳곳에서 발견됐다. 하지만, 크고 화려한 모양으로 인해 무분별한 포획 대상이 되고, 서식지까지 파괴되면서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이에 1968년에 국내 곤충 중 처음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됐으며, 2012년에는 환경부가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 위치 추적해 서식 선호지 분석…짝짓기도 포착 초소형 칩을 부착한 뒤 자연에 방사한 장수하늘소. 국립수목원 제공 장수하늘소는 최대 11㎝까지 자랄 정도로 국내에서 가장 큰 곤충 중 하나다. 쌀알 크기의 알에서 태어난 뒤 애벌레와 번데기를 거치면서 성충이 될 준비를 한다. 이후 여름에 성충으로 깨어나 한 달 남짓 살면서 번식을 마치고 죽는다. 스마트사육동은 내부 온도와 습도를 광릉숲의 여름에 맞추는 등 장더불어민주당이이재명 대선후보의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한 대법원 등 사법부를 향해 총공세를 펼치고 있다. 대법원 선고를‘사법 내란’으로 규정하고 조희대 대법원장에 대한 탄핵까지거론하는 모습이다.민주당 상임 총괄선대위원장을 맡은박찬대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4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12·3 내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호시탐탐 부활을 노리는 내란세력 준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대법원이 이 후보 선거법 사건을 파기환송한 5월1일 사법쿠데타, ‘이재명은 죽어도 안된다’며 대선 개입한 5월1일 사법내란이 바로 그 증거”라고 덧붙였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와 의원들이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서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시스 박 직무대행은 “내란종식,대한민국 수호를 위한 마지막 싸움이 이제 한달 남았다”면서 “우리가 가진 모든 권한과 능력, 가용가능한 수단과 방법을 총동원해 이 싸움에 임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이어“국회의 합법적 권한으로 사법내란을 진압하고 헌법과 국회의 이름으로제2, 제3의 내란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후 비공개로 전환된 의총에서 의원들은 “지금은 전쟁이나 마찬가지다. 바로 옆에서 포탄이 터지는 격”이라거나“12·3 비상계엄해제 의결하던 때처럼 지금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는 등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조희대 탄핵보류…재판 기일 변경 요구”민주당은 조 대법원장에 대한탄핵은 일단 보류한다는 방침이다.오는 15일로 예정된 파기환송심 첫 재판 기일의 연기 또는 취소를 요구하는 등 사법부를 상대로 여러 조건을 제시하면서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것이다.노종면 원내대변인은 의총이 종료된 후 기자들과 만나“(조 대법원장에 대한) 탄핵을 포함한 모든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었고 그에 대한 지지가 상당했다”면서도“그런 의결 절차는 안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노 원내대변인은 탄핵을 비롯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긴 했지만,탄핵을 결정하기 전에 국민적 여론을 획득하는 게 우선이라는 의견이 힘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일각
국립수목원 연구원